상어는 억울하다?…"상어 공격은 자기방어 행동일 가능성 커"

佛 연구팀 "상어에게 물리지 않으려면 모든 자극 행동 피해야"

 상어가 사람을 해치는 바다의 맹수로 인식되는 것과 달리 상어가 사람을 무는 사고 중 상당수는 계획된 공격이 아니라 생존 본능에 의한 자기방어일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프랑스 PSL대학 에릭 클루아 박사팀은 27일 과학 저널 보존과학 프런티어스(Frontiers in Conservation Science)에서 1860년대부터 남태평양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에서 발생한 상어 물림 사고를 분석, 일부가 생존 본능에 의한 자기방어 행동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상어의 공격 동기를 파악하기 위해 1863년부터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에서 발생한 약 7천건의 상어 공격 기록(Global Shark Attack Files)을 분석했다.

 상어 공격이 사람들의 근접 활동 등 자극에 의한 것인지 등을 분석한 결과 전체의 약 5%인 322건이 인간 활동에 대한 반응으로 일어난 자기방어 행동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상어의 공격 상황 등에 정보가 기록된 2009~2023년 발생 사건 74건 중에서는 4건이 자기방어에 의한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전체 사고의 3~5%에 해당한다.

 연구팀은 상어는 경쟁과 영역 다툼, 포식 등 다양한 이유로 사람을 물 수 있다며 이 연구는 상어가 사람을 무는 데에는 자기방어라는 지금까지 거의 논의되지 않은 동기가 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또 상어 공격이 인간의 공격에 대한 반응으로 나왔거나 상어 공격으로 가벼운 표면적 상처만 난 경우, 인간 행동이 폭력적이지 않았거나 구조·구호 목적인데도 상어가 과도하게 반응한 경우 등은 자기방어 행동으로 볼 수 있다며 이런 사고의 책임이 상어가 아니라 사람에게 있다고 설명했다.

 클루아 박사는 "상어에게 물리지 않는 가장 좋은 방법은 공격으로 보일 수 있는 모든 행동을 피하는 것"이라며 "좌초된 상어를 도우려는 시도도 상어는 언제든 공격으로 간주해 반응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상어가 무해해 보이거나 어려움에 부닥친 것처럼 보이더라도 신체적 접촉을 해서는 안 된다"며 "상어는 잠재적으로 위험한 동물일 수 있기 때문에 만지지 않는 게 현명할 뿐만 아니라 상어에 대한 존중의 표시이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 출처 : Frontiers in Conservation Science, Eric Clua et al., 'The Talion law 'tooth for a tooth': self-defense as a motivation for shark bites on human aggressors',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conservation-science/articles/10.3389/fcosc.2025.1562502/full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40년 名家 '심장병 사관학교' 세종병원 가보니…"심장만큼은 빅5"
"우리나라 연간 심장이식 수술이 200건 정도 되는데, 그중 두 건이 오늘과 내일 인천세종병원에서 이뤄집니다. 지금 막 심장이식팀이 기증자가 있는 병원에서 심장을 떼고 출발했어요." 지난 17일 찾은 인천세종병원에서 이 병원을 운영하는 혜원의료재단 박진식 이사장(심장내과 전문의)은 고난도 수술을 앞두고 바짝 긴장했다. 의료진은 심장수술이 정점에 위치한 이식수술에 이미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었다. 오병희 병원장은 "이식팀이 실시간으로 심장의 위치와 상태를 중계하면 수술팀은 그에 맞춰 환자 가슴을 미리 열어놓고, 3시간 이내에 심장이 도착하자마자 바로 이식한다"고 설명했다. 인천세종병원은 지난해 15건의 심장이식수술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재단이 운영하는 부천·인천 세종병원은 2차 종합병원이지만 '심장수술의 명가'답게 심장 분야에서 '빅5' 상급종합병원급 규모와 난도의 진료·수술을 한다. 1982년 개원한 부천세종병원은 301병상 규모의 대한민국 유일 심장전문병원이다. 인천세종병원은 2017년 문을 열었고 307병상을 운영한다. 이들 병원은 심장이 거의 뛰지 않는 환자가 다는 에크모(ECMO·인공심폐장치)와 흉부 절개 없이 인공판막을 삽입하는 타비(TAVI),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항암제 병용요법 보험적용에 암환자 숨통…희귀질환자 접근성은
다음 달부터 암 환자들이 기존 건강보험 적용 항암제와 비급여 항암 신약을 함께 사용하더라도 기존 약에 대한 건강보험 혜택을 계속 받을 수 있다. 정부는 이러한 내용의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 사항(약제) 일부 개정 고시안'을 지난 18일 행정 예고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이번 개정안을 '급여기준 개선의 첫걸음'이라고 논평했으며, 글로벌 제약사 모임인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도 환영 의사를 표했다. 다만 이들 환자단체와 제약업계 모두 이번 개정안을 환영하면서도 국내 환자들의 낮은 치료 접근성을 언급하며 약가 제도 및 건강보험 급여체계 개편 논의가 환자 중심으로 진전되기를 바란다고 평가한 점은 주목할만한 부분이다. 두 제도 모두 정부의 재정 안정성이 환자 치료 기회 보장보다 우선시되고 있다는 지적을 오랫동안 받아왔다. 대부분 고가인 혁신 신약 및 병용 위주로 변화하는 항암 치료법이 해외에서는 이미 도입됐지만 국내 환자들은 비교적 뒤늦게 급여 혜택을 받게 됐다. 지난 달 17일 국회에서 열린 '병용요법의 암 환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서동철 중앙대 약학대학 명예교수는 "제약업계의 항암 치료 파이프라인(개발 중인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