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팔 근육 경직, 새 로봇 기술로 수치화해 진단"

경직 상태 정량적 측정 가능…"산재 보상 기준 마련에 도움"

 의사의 손끝 감각에 주로 의존하던 팔의 근육 경직(spasticity) 진단을 정확한 수치로 표현할 수 있는 로봇 기술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계공학과 강상훈 교수팀은 환자의 팔에 미세한 힘을 가한 뒤 이에 대한 움직임 반응을 측정해 경직 상태를 수치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비숙련자도 수 분 내에 정량적 진단을 내릴 수 있다.

 특히 어깨와 팔꿈치처럼 복합적인 관절이 동시에 작용하는 팔의 경우 정확한 진단이 더 어려웠다.

 강 교수팀은 2자유도 직접구동 로봇을 이용해 팔에 미세한 힘을 가하고, 이에 따른 움직임 반응을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경직 상태를 수치로 환산할 수 있게 했다.

 그동안 로봇을 활용한 경직도 측정 기술은 비선형성(같은 자극을 줘도 반응이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인한 신뢰도 문제 때문에 널리 활용되지 못했다.

 강 교수팀은 이 문제의 원인이 사람 팔이 아니라 로봇 시스템 내부의 잔여 마찰임을 최초로 규명했다.

 이어 IMBIC(Internal Model Based Impedance Control) 제어 전략을 적용, 로봇 시스템의 잔여 비선형 마찰을 100% 가까이 보상해 경직도 측정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끌어올렸다고 강 교수팀은 설명했다.

 IMBIC는 로봇이 스스로 마찰, 비선형성 등 불확실성을 보정해 제어 신뢰도를 높이는 기술이다.

UNIST 강상훈 교수

 강상훈 교수는 "환자 상태를 정량화해 추적할 수 있어 재활 치료 설계, 산재 보상 기준 마련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2026년 개원 예정인 울산 산재전문 공공병원과 협업해 실제 의료 현장 적용 가능성도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런연구 결과는 재활의학 분야 상위 3% 학술지인 'IEEE 신경시스템과 재활공학 회보'에 지난달 26일 실렸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사업, 범부처 전주기의료기기 개발사업단, 국립재활원 재활로봇중개연구용역 등의 지원을 받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제주 해녀는 유전자가 다르다…잠수 적응 돕는 변이 확인"
임신 중에도 호흡 장비 없이 차가운 바닷속에 잠수하는 제주 해녀들은 저체온증 내성을 높여주는 변이 등 잠수에 도움이 되는 유전적 변이를 가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유타대 멀리사 일라르도 교수팀은 4일 과학 저널 셀 리포트(Cell Reports)에서 제주의 해녀와 해녀가 아닌 여성, 한반도 본토 여성에 대한 비교 실험 연구에서 제주 여성만 가진 잠수 적응 변이 2개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일라르도 교수는 "해녀들의 놀라운 잠수 능력은 유전자에 기록되어 있다"며 "해녀들이 임신 중에도 진짜 힘든 일인 잠수를 하는 것은 전체 제주 주민들에게 실제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제주 해녀들은 공동체를 위해 일 년 내내 잠수하며 해산물을 채취하는 것으로 유명하다며 이들은 열 살 무렵부터 잠수 훈련을 시작해 평생 잠수 활동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들의 놀라운 잠수 능력에 영감을 받아 이들에게 잠수 부담을 견디는 데 도움이 되는 생리적 특성이 있는지, 있다면 이런 특성이 유전적 적응 덕분인지 아니면 훈련 때문인지 밝히고자 했다고 연구 배경을 밝혔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제주 해녀 30명과 해녀가 아닌 여성 30명, 한반도 출신 31명의 생리

메디칼산업

더보기
독사에 200번 물려준 남자…몸 바쳐 '만능 해독제' 길 열었다
미국에서 뱀에 200번 물린 남성의 피를 이용해 만능 해독제를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2일(현지시간) 영국 BBC 방송에 따르면 전직 트럭 정비사였던 팀 프리드(57) 씨는 뱀독에 대한 면역력을 키우기 위해 18년간 코브라, 블랙맘바, 타이판 등 치명적인 독사에게 200차례 이상 일부러 물렸다. 또 700회 이상 뱀독을 추출해 몸에 스스로 주입하기도 했다. 초기에는 코브라 두마리에게 잇따라 물려 혼수상태에 빠지기도 했지만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되겠다는 일념으로 이런 '실험'을 계속했으며 길고 고통스러운 과정을 유튜브에도 기록했다.프리드 씨의 사연을 알게 된 미국 생명공학회사 센티백스의 최고경영자(CEO) 제이컵 글랜빌 박사는 곧바로 그에게 연락을 취했다. 글랜빌 박사는 특히 여러 종류의 뱀독에 효과가 있는 '광범위 중화항체'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뱀의 독은 종마다 달라 해독제도 모두 달라져야 하지만, 모든 뱀독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부분을 표적으로 삼는다면 광범위하게 쓰일 수 있는 해독제를 개발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글랜빌의 연구팀은 프리드 씨의 혈액에서 항체를 추출했고, 동물 실험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독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