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7일 조간)

▲ 경향신문 = 사법 신뢰 무너뜨린 대법원의 대선 난입, 이제라도 멈추라

탄핵반대파들의 볼썽사나운 후보 단일화 힘겨루기

국민의힘 후보 단일화 내홍… 이러고 중도층 마음 얻겠나

▲ 동아일보 = D-27 대선 민의는 경제 살리고 국민 통합 이루라는 것

국힘 후보 '단일화' 한다는 건지 '교체' 한다는 건지

'유심해킹' SKT, 6~9개월 전 정보보호 3차례나 합격점 준 정부

▲ 서울신문 = 무원칙 단일화 내홍, 사법부 겁박… 눈 둘 데가 없는 대선

정부 '한은 마통' 역대 최대… 가는 곳마다 '선심 공약' 李

예대금리차 돈방석 은행들, '제 역할' 한번 찾아 해 보길

▲ 세계일보 = 金·韓 단일화 대혼돈, 이래선 보수 공멸 피하지 못할 것

李 "조봉암·DJ 사형" 운운, 사법불신 조장 도 넘었다

의대생 70% 유급 현실화, 정부·대학은 원칙 대응해야

▲ 아시아투데이 = 김문수·한덕수, 역할분담 통한 공동정부로 대선 승리해야

삼권분립 훼손하는 민주당의 대법원장 탄핵 겁박

▲ 조선일보 = 짐작했던 것보다 더 볼썽사나운 단일화 기싸움

불리한 판결 내린 판사 탄핵하겠다면 '독재당'으로 당명 바꿔야

'재정적자 100조' 나라에 대선 후보들은 또 퍼주기 경쟁

▲ 중앙일보 = 공약 안 보이고 사법 리스크와 단일화만 요란한 대선

정치 불확실성에 가라앉는 경제…대외신인도 챙길 때

▲ 한겨레 = '묻지마 단일화' 진흙탕 싸움에 빠진 국민의힘

이재명 파기환송심, 사법부 불신 더 키우지 말라

영화·약에도 '트럼프 관세', 시한 얽매이지 말고 버텨야

▲ 한국일보 = "일정 중단" 김문수, "배신"이란 지도부… 점입가경 국민의힘

"사법 살인"까지 갖다 붙인 이재명… 법 위에 있나

임박한 의대생 유급·제적… 원칙 대응하고 부작용 대비를

▲ 글로벌이코노믹 = 글로벌 AI 경쟁에서 밀리지 않으려면

조선 해양 컨트롤 타워 복원 시급

▲ 대한경제 = 과도한 공공기여, 개발은 막고 공익도 못 살린다

SKT 해킹 후폭풍 여전, 정보보호 인증 심사 강화해야

▲ 디지털타임스 = 삐걱대는 金·韓 단일화… 정치 셈법에 갇히면 보수 자멸이다

정부 '한은 마통' 71조, 재정준칙 제정해 '돌려막기' 탈출해야

▲ 매일경제 = 韓·金 단일화 파열음, 이런 식으론 감동 못줄 것

장애인용 키오스크 의무화, 잘못된 규제의 교과서다

美 인플레·中 디플레 경고한 IMF

▲ 브릿지경제 = '대대대행' 체제의 경제, 흔들림 없어야 한다

▲ 서울경제 = 보수 단일화 정면 충돌, 정치공학 접고 '尹 차별화' 비전 보여야

도 넘은 사법부 겁박, 삼권분립 흔들기 중단하라

"AI 강국 도약 골든타임 3년" … 전방위 총력전 서두를 때다

▲ 이데일리 = K배터리도 속 빈 강정… 제조업 위기 말로만 끝낼 건가

활개치는 유사수신 사기, 중·노년들이 위험하다

▲ 이투데이 = 벌써 '한은 마통' 76조…이런데도 포퓰리즘 경쟁이니

▲ 전자신문 = 알뜰폰도 경쟁촉진 통해 키워야

▲ 파이낸셜뉴스 = 사법부 공격하며 뭉친 민주, 분열하는 국민의힘

국정공백 속 고삐 풀린 물가, 경제 회복에 암초될 것

▲ 한국경제 = '집값 억제' 관치금융에 일반 대출자도 괴롭다

버스 임금협상 '몸살' … 현장과 괴리된 친노조 판결의 부메랑

공장 착공에만 6년 … 반도체 속도전 中 당해내겠나

▲ 경북신문 = 대선판 흔들 단일화… 누가 선택될까?

▲ 경북일보 = 경북 산불 피해액 최종 확정…지원 최선 다해야

▲ 대경일보 = 부모님께 진심으로 감사하는 마음을

산불 복구 예산의 확보와 제2의 새마을운동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