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전공의 돌아올까 [연합]</strong>](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520/art_17475229484625_e21351.jpg)
정부가 사직 전공의들을 위한 복귀의 문을 곧 열어줄 것으로 예상되면서 얼마나 많은 전공의가 복귀를 택할지 주목된다.
18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이번 주 중 전공의 5월 추가 모집 방침을 확정하고 전국 수련병원을 통해 모집 공고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관건은 얼마나 돌아올지다.
대학의학회를 통해 정부에 전달된 전공의들의 자체 설문에서는 최소 200명 이상이 즉시 복귀 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규모로 진행된 수련병원협의회 설문에선 그보다 더 많은 전공의가 복귀 의사를 밝혔다.
지난 8∼12일 진행된 설문에선 애초 사직 전공의 전체 숫자인 1만여 명보다 많은 1만6천 명가량이 참여했는데, 투표 방해를 위한 의도적인 중복 참여 정황이 확인돼 이를 제거하는 작업을 거친 결과 참여자 수가 3분의 1로 줄었고 이 가운데 과반이 '조건부 복귀'를 택한 것으로 전해졌다.
즉, 대략 2천500명 이상이 '제대 후 복귀 보장, 5월 복귀 시 3개월(3∼5월) 수련 인정, 필수의료 패키지 재논의' 등의 조건이 충족될 경우 돌아가겠다고 한 것이다.
이러한 조건 없이 복귀하겠다는 전공의도 700∼800명가량으로 알려졌다.
다만, 문항 자체의 복귀 조건이 다소 모호한 데다 익명 설문이라는 점에서 이 가운데 얼마나 실 제 모집에 응할지는 미지수다.
5월 모집을 위해 정부는 사직 전공의가 1년 이내 동일 연차·과목에 복귀할 수 없게 하는 규정에 다시 한번 예외를 줄 계획이다.
하반기 정기 모집 시점엔 사직 1년이 지난 후라 이러한 수련특례 없이도 복귀가 가능하지만, 복귀를 몇 개월 늦추면 전문의 시험은 1년 더 기다려야 하므로 어차피 복귀할 거면 굳이 기다릴 필요는 없다는 분위기도 있다.
한 사직 전공의는 "복귀 의향 있는 전공의가 많다는 설문 결과를 보면서 '나만 그렇게 생각하는 게 아니구나. 분위기가 바뀌고 있구나'라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미필 전공의의 경우 사직과 함께 입영대기 상태가 됐기 때문에 이번에 복귀를 택하더라도 내년이나 내후년 영장이 나오면 곧바로 입대해야 할 수도 있다.
지난 1월 상반기 전공의 모집 당시 정부는 사직 전공의들이 복귀를 택하면 수련을 마치고 입영할 수 있게 특례를 적용해줬지만, 이번엔 쉽지 않아 보인다.
다만 정부 관계자는 "복귀한 전공의들을 제외하고도 병역 자원이 충분하다면 수련을 마칠 때까지 입영을 연기하는 게 가능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전공의들의 복귀 문을 열어주는 동시에 전공의들의 요구사항 중 하나였던 수련환경 개선 작업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 등을 포함한 '강경파' 전공의들도 참여한 가운데 정부와 의료계의 관련 논의가 최근 개시됐다.
전공의들의 근무시간을 주당 80시간에서 72시간으로, 연속 근무시간을 24∼30시간에서 24시간으로 단축하는 시범사업도 곧 시작된다.
정부는 지난 16일 주요 상급종합병원을 비롯한 전국 69개 병원을 시범사업 참여기관으로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