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간 폐암 추적해보니…발생률 상승세에도 5년 생존율 2배↑

건보공단·폐암학회, 백서 발간…폐암 발생 3명중 2명이 60∼70대

  암 가운데 사망률 1위인 폐암의 국내 발생률이 최근 15년 동안 꾸준히 오른 반면 암 진단 후 생존율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과 대한폐암학회가 2008∼2023년 20세 이상 의료급여 및 건강보험 자격 유지자의 데이터를 토대로 공동 발간한 2024 폐암백서에 따르면 국내 폐암 조발생률은 2008년 0.047%에서 2023년 0.073%로 올랐다.

 실제 환자 수는 남성이 1만2천891명에서 2만1천591명으로 늘었고, 여성은 5천15명에서 1만1천81명으로 증가했다.

연도별 성별 폐암 발생

 전체 환자 가운데 64.4%가 60∼79세 사이 폐암에 걸렸다. 2023년의 경우 전체 폐암 환자(3만2천672명) 중 70대(1만1천23명)가 33.7%, 60대(1만4명)가 30.6%를 각각 차지했다.

 폐암 진단 후 1년 이내에 받은 치료 종류를 보면 수술받은 환자는 2008년 3천968명에서 2023년 1만2천786명으로 늘어났지만, 방사선 치료를 선택한 환자는 같은 기간 4천954명에서 3천380명으로 줄었다.

 폐암 환자가 늘었지만, 생존율은 개선되는 추세다.

 폐암 진단 후 환자의 1년 생존율은 2008년 48.6%에서 2023년 68.4%로 올랐다. 5년 생존율은 18.5%에서 35.7%로 상승했다.

 건강보험공단과 폐암학회는 인구 고령화로 폐암이 더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업무협약을 통해 향후 폐암 발생 등 현황을 파악하고, 공동으로 폐암을 연구하기로 했다.

 정기석 공단 이사장은 "업무협약을 계기로 백서 발간을 정례화하는 등 유용한 기초 통계를 생산해 폐암 관련 정책 의사 결정을 지원하겠다"며 "연구 결과가 국민 건강 증진과 건강 형평성 개선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폐암 진단 후 1년 이내 의료 이용 양상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