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기업 '바이오USA' 출격…"기술수출·파이프라인 확대 박차"

글로벌 최대 규모 바이오 전시…삼성바이오·셀트리온·SK바이오팜 등 참가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이 다음 주 대거 미국 보스턴에 모인다.

 16∼19일(현지시간) 열리는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 USA)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1년 창사 이래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13년 연속 단독 부스를 마련해 이 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이번 행사에서는 위탁개발생산(CDMO) 경쟁력과 신규 시설 및 서비스 홍보 등에 주력한다.

 특히 올해 새롭게 론칭한 항체·약물접합체(ADC) 서비스 등 CDMO 포트폴리오 확장, 인공지능(AI) 기반 운영을 비롯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 등을 활발히 알릴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신약 파이프라인 강화를 위한 글로벌 기업과의 파트너십 확대를 추진한다.

 단독 부스를 운영하며 신규 모달리티 개발 동향을 파악하고 차세대 ADC, 항체 신약 등 신약 파이프라인 확대를 도모한다.

 올해는 처음으로 기업 발표 세션에 참가해 업계 관계자를 대상으로 의약품 연구개발부터 임상, 허가, 생산, 판매 등 전 과정을 소개한다.

 SK바이오팜도 올해 행사에서 처음으로 단독 부스를 운영하며 사업 확장 및 파트너십 발굴에 나선다.

 회사는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를 앞세워 글로벌 비즈니스 확장 기회를 모색할 계획이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단독 전시 부스를 운영하며 시러큐스 바이오 캠퍼스와 송도 바이오 캠퍼스의 경쟁력을 알리는 데 집중할 예정이다.

 에이비엘바이오, 코오롱생명과학, 차백신연구소 등도 올해 바이오 USA에 참가한다.

 에이비엘바이오는 글로벌 기업과 뇌혈관장벽 셔틀 플랫폼 '그랩바디-B' 등과 관련한 협력을 논의할 계획이다.

 앞서 4월 이 회사는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과 4조1천억원 규모의 그랩바디-B 플랫폼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코오롱생명과학은 신약 파이프라인 기술 수출 및 CDMO 수주 확대에 주력한다.

 차백신연구소도 대상포진 예방백신 'CVI-VZV-001' 등의 기술이전이나 공동개발 등에 초점을 맞춰 홍보를 진행한다.

 아울러 올해 한국바이오협회는 코트라와 함께 '한국관' 부스를 운영하며 29개 국내 기업 및 기관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한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행사는 우리나라 바이오 기업이 기술수출 등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고 신약 파이프라인을 확대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협 회장 "성분명 처방·한의사 엑스레이 허용시 총력 투쟁"
법정 의사단체인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정부의 성분명 처방, 한의사 엑스레이(X-ray) 허용, 검체 검사제도 개편 등을 '악법'으로 규정하고 정부가 이를 허용할 경우 총력 투쟁에 나서기로 했다. 범의료계 국민건강보호 대책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는 김택우 의협회장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연 전국 의사 대표자 궐기대회 대회사에서 이렇게 밝혔다. 김 회장은 "성분명 처방 강행은 곧 의약 분업의 원칙을 파기하는 것"이라며 "한의사에게 엑스레이 사용을 허용하는 것은 면허 체계의 근본을 훼손하는 의료 악법이고, 검체 검사 보상체계 개편도 개악"이라고 비판했다. 보건복지부는 과도한 할인 관행을 개선하고자 검체 검사 보상체계를 개편한다는 방침이다. 검체 검사 위탁 비중이 높은 동네의원들 입장에선 수입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 개편이라 개원가를 중심으로 특히 반발하고 있다. 김 회장은 "이 세 가지 악법은 국회와 정부의 정책 폭주에서 나온 처참한 결과물"이라며 "국회와 정부가 의료계 대표자들의 외침을 외면한다면 14만 의사 회원의 울분을 모아 강력한 총력 투쟁에 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궐기대회에 참석한 의사들은 "환자 안전 위협하는 성분명 처방 규탄한다", "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