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아동, 국가가 초기 보호…인천서 7월부터 시범사업

복지부, 내년까지 시범사업 후 보호체계 단계적 확대

 

 위기아동이 발생하면 국가와 광역 지방자치단체가 책임지고 초기 보호를 제공하는 시범사업이 인천에서 시행된다.

 보건복지부는 보호 대상 아동 초기 보호체계 구축 시범사업 실시 지역으로 인천광역시를 선정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 시범사업은 학대, 부모의 사망 등으로 보호받아야 하는 아동이 생기면 해당 시군구 사례결정위원회의 최종 보호 조치 결정 전(前) 일시 보호기간에 국가와 시도가 아동을 책임지고 보호하는 사업이다.

 문제는 기초 지자체에서 아동을 맡았을 경우 해당 지역 내에 보호 시설이 부족해 빈자리가 생긴 곳으로 아동들을 자꾸 이동시킴으로써 일시 보호기간이 길어진다는 점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광역 지자체로 범위를 넓혀 위기 아동을 보호한다는 게 시범사업의 목적이다.

 인천시는 향후 전담 인력을 지정하고 복지부와 협의해 보호 기능을 맡는다.

 가칭 '아동 초기 보호센터'로 지정된 인천보라매아동센터는 다음 달부터 가정에서 분리된 위기 아동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내년까지 시범사업을 한 뒤 사업 성과를 평가해 초기 보호체계를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 의학계의 화두, 장내 세균 지난 칼럼에 언급한 대로 현대인은 실질적인 영양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따라서 영양이 풍부한 건강한 음식을 찾아 먹는 것이 중요하다. 그럼 무엇이 좋은 음식이고, 어떤 음식을 찾아 먹어야 할까? 결론은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음식을 먹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하지 않은가. 왜 내가 아닌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음식을 먹어야 할까. 여기에 답을 하려면 우선 장내세균이 무엇이고, 장내세균이 왜 중요한가에 대해 알아야 한다. 흔히 장내세균, 즉 우리 장 속에 있는 세균이라고 하면 대장균을 떠올릴 것이다. 대장균 하면 어떤 생각이 드는가. 여름철 식중독, 설사, 구토 등을 유발하는 나쁜 세균으로 생각한다. 대장균은 흔히 위생 상태가 나쁜 곳에서 발견되는 균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일부만 맞다. 어떤 음식에 대장균이 있다는 것은 본래는 동물의 대장에 있어야 할 대장균이 대변을 통해 그 음식으로 들어갔다는 말이므로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음을 뜻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대장균은 장내세균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장내세균은 우리에게 엄청나게 중요한 균이다. 수십조 마리의 장내세균이 우리 몸속에서 살아가며 우리 몸의 건강과 면역기능 수행에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