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약물 사용 경험 1.63%…코로나 때 줄었다 큰 폭 반등"

2018∼2023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분석…코로나19 기간에는 0.73%로↓
'스마트폰 과다 사용' 약물 사용 위험 높이는 요인으로 부상

 청소년의 약물 사용 경험이 코로나19 팬데믹 때 일시적으로 줄어들었다가 일상 회복 이후 더 큰 폭으로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중독정신의학회에 따르면 한양대 하민경·김윤진·노성원 연구팀은 학회가 발간하는 '중독정신의학' 최신호에 이런 연구결과가 담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청소년 약물 사용 변화' 논문을 게재했다.

 약물에는 신경안정제, 각성제, 수면제, 식욕억제제, 마약성 진통제, 본드, 대마초, 코카인, 부탄가스 등이 포함됐고 의사로부터 처방받은 약을 먹은 경우는 제외됐다.

 연구진은 팬데믹 기간의 약물 사용 위험은 팬데믹 전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팬데믹 이후에는 위험이 유의하게 높아졌다면서 이는 팬데믹 동안 미국 청소년의 대마초 사용 빈도가 증가했다는 연구 등과 상반된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한국의 경우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이동 제한으로 또래 관계가 약화하고 약물 접근성이 제한되면서 일시적으로 약물 사용이 억제된 것으로 해석된다"고 했다.

 또 "반면 팬데믹 이후에는 누적된 부정적 정서와 학교 복귀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하려는 과정에서 약물 사용이 증가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여성 청소년은 코로나19 이전에는 남성 청소년보다 약물 사용 위험이 낮았으나 팬데믹 이후에는 위험이 남성 청소년보다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코로나19 이후에는 '스마트폰 과다 사용'이 약물 사용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부상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스마트폰 사용 증가가 약물 접근성을 높이는 경로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보육시설 거주, 신체적 폭력 피해, 우울·자살 등 정신건강 문제는 팬데믹 이전·중간·이후에 걸쳐 일관되게 약물 사용 위험을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알츠하이머, 혈액 속 지질과 관련 입증…치료법 개발 도움"
경북대는 수의학과 진희경·의학과 배재성 교수팀이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인 후각 장애와 뇌실확장이 혈액 인자 'S1P(스핑고신-1-포스페이트)'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15일 밝혔다. S1P는 혈액 속 지질로, 고밀도지단백(HDL)과 결합한 형태로 뇌로 이동해 신경세포 생성과 뇌 구조 유지를 돕는 역할을 한다. 경북대 연구팀은 혈중 S1P 수치를 인위적으로 낮춘 생쥐 모델에서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처럼 후각 반응이 둔해지고, 뇌실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관찰했다. 같은 결과가 알츠하이머 초기 환자 혈액 분석에서 확인됐다. 환자들의 S1P 수치는 정상군에 비해 낮았고, 수치가 낮을수록 후각 인식 능력이 떨어지고 뇌실 크기는 증가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S1P를 포함한 혈장을 생쥐 모델에 정맥 주사하면 신경줄기세포 수가 회복하고 후각 행동이 개선됐고, 뇌실 확장도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이 S1P 감소 때문이라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진 교수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가 향후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