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민, 이웃으로는 받아들이겠지만…"가족 될 수 있다"는 8%뿐

보건사회연구원, 3천여명 대상 조사…난민 수용성 특히 낮아

 우리 국민 10명 중 4명은 이주민을 이웃으로는 받아들이겠다면서도 배우자나 가족으로 맞이하겠다는 비율은 8%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세대 간 이주민 수용성 인식과 이민정책의 과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만19∼74세 성인 남녀 3천11명에게 물은 결과, 응답자의 38.7%가 이주민을 이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나의 배우자나 가족'으로서 받아들일 수 있다는 응답은 8.4%에 그쳤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제공]

 세대별로 나눠 보면 특징이 두드러졌다.

 청년층(19∼34세)은 '절친한 친구'(30.2%)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응답률이 전체 평균을 훨씬 웃돌아 상대적으로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

 다만, 청년층 역시 배우자나 가족으로서 이주민을 받아들이겠다는 의향은 8.6%에 그쳤다.

 노년층(65세 이상)의 경우 '이웃 삼겠다'(57.9%)는 응답률과 어떤 관계로도 받아들일 수 없다(7.5%)는 응답률이 전 세대를 통틀어 가장 높았다. 이주민을 가족으로 받아들이겠다는 응답률(5.0%)은 전 세대 가운데 가장 낮았다.

 연구진은 "노년층은 일상적이고 제한적인 접촉 수준에서는 이주민을 수용하지만, 밀접한 관계나 정서적 거리의 축소는 거부하는 양가적 태도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제공]

 영주권자, 난민 등 이주민의 유형에 따라 수용 가능성도 달라졌다.

 어느 집단에서건 영주권자에 대한 거부감은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난민에 대해서는 수용성이 떨어졌다.

 비교적 개방적인 청년층에서조차 난민을 친구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응답이 29.3%에 그쳤고, 이런 경향은 중년층(8.5%)과 노년층(7.95%)에서 더 두드러졌다.

 특히 난민을 가족으로 수용할 수 있다는 응답률은 청년층 1.8%, 중년층 2.4%, 노년층 0.6% 등으로 매우 낮았다.

 저출산·고령화 때문에 일부 산업 분야에서는 인력 부족이 심각하다는 전제 아래 외국인 인력 유입에 관해 물었을 때도 세대 차이는 뚜렷했다.

 청년층은 산업 분야에서 제한 없이 외국 인력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응답률이 17.7%로 가장 높았고, 노년층은 9.4%로 가장 낮았다.

 연구진은 "사회 통합을 이루려면 세대 간 이주민 수용성과 접촉 경험의 차이를 고려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며 "이주민을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으로 포용하기 위한 법·제도적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학병원 치료 후 동네 병으원으로 돌아가는 길 막힌 환자들
동네 치과의원에서 치료가 어렵다는 소견을 듣고 대학치과병원을 찾은 환자 A씨. 다행히 복잡한 치료를 무사히 마쳤지만, 간단한 후속 관리를 받기 위해서도 계속해서 복잡한 대학병원을 찾아야 한다. 원래 다니던 동네 의원으로 돌아가라는 안내도, 관련 진료기록을 공유하는 절차도 없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치과 의료전달체계가 이처럼 1차 의료기관(치과의원)에서 상급 병원으로 환자를 보내기만 하는 '일방통행'식으로 운영돼 환자 불편과 의료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실태가 국내 첫 대규모 조사를 통해 확인됐다. 공식적인 의뢰·회송 제도가 없는 상황에서 1차 치과의원들의 '선의'에 기댄 자발적 의뢰는 활발히 이뤄지고 있으나, 치료가 끝난 환자를 다시 동네 병의원으로 돌려보내는 회송 시스템은 사실상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 1.6만 건 분석…회송률 5.8% '충격' 21일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서울대학교치과병원 등 4개 국립대치과병원(서울대·강릉원주대·경북대·부산대)이 수행한 '치의료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의뢰·회송 운영(안) 마련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현행 치과 의료 시스템의 구조적 문제가 수치로 명확히 드러났다. 연구팀은 2023년 한 해 동안 4개 국립대치과병원에 의뢰된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