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수술 14년간 3배↑…고령·女환자 늘고 입원기간 절반으로

삼성서울병원 연구팀 분석…"30일 이내 사망률 2.45%→0.76%"

 노인 인구 증가 속에 국내 폐암 수술 건수도 고령, 여성 환자를 중심으로 빠르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은 폐식도외과 박성용 교수·임상역학연구센터 강단비 교수 등으로 이뤄진 연구팀이 2010∼2023년 국민건강보험 통계와 로봇수술 기록 등을 토대로 국내 폐암 수술 추이를 분석해 대한암학회지 최근호에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2010년 4천557건이던 연간 폐암 수술 건수는 2023년 1만4천184건으로 3배 넘게 늘었다.

 이 기간 인구 10만 명당 폐암 발생도 42.8건에서 61.8건으로 증가했다.

 실제로 35∼64세에선 폐암이 전체 암 가운데 다섯 번째로 환자 수가 많지만, 65세 이상에선 1위다.

 여성 수술 환자 비율은 2010년 32%에서 2023년 44.7%로 늘었다.

 여성 폐암 발병엔 간접흡연, 음식 조리, 대기오염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검진이 보편화하고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여성 환자 진단도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조기 진단과 수술기법 발전으로 고령 환자나 동반질환자 등 고위험 환자의 수술도 늘었다.

 14년간 70대 수술 환자 비중은 26.3%에서 32.3%로, 80세 이상은 2.0%에서 6.2%로 증가했고, 중증 동반질환자의 비율도 9.0%에서 17.4%로 올랐다.

 최소 절개만으로 가능한 흉강경 수술이 비율이 52.9%에서 94.8%로 증가했고, 로봇수술 건수도 계속 늘어 2023년엔 개흉 수술(291건)보다 로봇 수술(450건)이 더 많이 이뤄졌다.

 폐암 수술 환자의 입원기간은 2010년 13일에서 2023년 7일로 절반 가까이로 단축됐고, 30일 이내 사망률은 2.45%에서 0.76%로 크게 낮아졌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두경부암 수술 수가 최대 80% 인상…급성 정신질환 입원수가 신설
수술이 어려운데도 적절한 보상을 받지 못해 대표적 기피 분야로 꼽히던 두경부암 수술의 수가(의료 서비스 대가)가 최대 80%까지 오른다. 의료 자원이 많이 투입되고, 치료 난도도 높은 급성기 정신질환에는 집중치료실 입원료 수가가 신설된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건강보험 최고 의결기구인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건정심)의 올해 제13차 회의를 열고 이렇게 의결했다고 밝혔다. ◇ 24개 두경부암 관련 수술 수가 최대 80% 인상 두경부암 수술은 얼굴, 목이라는 부위의 특성 등으로 위험이 큰 데 비해 보상이 적어 의료진이 기피해온 분야다. 복지부에 따르면 서울 권역응급의료센터 7곳 가운데 서울대병원만 이 분야에 전임의가 지원했다. 이에 정부는 구강내 종양 적출술, 설암 수술 등 두경부암 수술을 포함한 29개 두경부 관련 수술 항목에 대한 보상을 강화한다. 구강내 종양 적출술 등 24개 두경부암 관련 수술 수가가 최대 80%까지 인상된다. 일례로 상급종합병원에서 구인두 악성 종양 수술시 수가는 현재 약 92만원에서 약 166만원으로 오른다. 주된 수술만 급여를 인정하던 기존과는 달리 앞으로는 두경부 인접 부위 수술에도 보상이 늘어난다. 상급종합병원에서 설암이 구강저(구강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