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용만 해도 건강 리포트'…갤럭시워치8 헬스케어 진화

항산화·심혈관·수면 분석…삼성, 예방의학 기능 대폭 강화

 "스마트워치의 가장 큰 장점은 늘 착용하고 있기에 내 건강 상태를 지속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일상을 함께하는 '컴패니언'(동반자) 디바이스라고 할 수 있죠."

 삼성전자 MX사업부 헬스 하드웨어 개발그룹 최종민 상무는 지난 7일 서울 중구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갤럭시 워치8 시리즈'의 주요 기능을 소개하며 이같이 말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신제품에 수면, 심혈관 건강, 항산화 지수 등 건강 전반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다수 탑재하며 스마트워치의 헬스케어 기능을 한층 강화했다.

 세계 최초로 항산화 지수를 스마트워치에서 측정할 수도 있다. 바이오 액티브 센서로 5초 만에 체내 항산화 성분인 '카로티노이드' 수준을 측정해 부족 혹은 적정 수준을 표시해 준다.

 피부 카로티노이드는 암이나 각종 만성 질환 예방에 참고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지표로도 활용할 수 있다.

 혈관 건강 관리 측면에서는 수면 중 측정한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혈관 스트레스' 수준을 분석해 기준선 대비 변화가 클 경우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심전도(ECG) 측정 기능도 이소성 박동 등 이상 징후를 감지해 위험 신호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삼성전자는 2013년부터 웨어러블 센서와 알고리즘 개발에 착수해 같은 해 갤럭시 기어에 처음 탑재한 이래로 지속해 기술을 고도화해왔다.

 올해 워치8 시리즈에서는 디자인과 착용감을 개선해 기능성과 사용 편의성을 동시에 잡았다는 설명이다.

 헬스케어 기능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팀에는 의공학자와 의료 전문 인력을 배치하고 국내외 대학 및 의료기관과 협업도 이어가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젤스(Xealth)'를 인수해 병원 시스템과의 연동 등 생태계 확장도 추진 중이다.

 최 상무는 "현재의 헬스케어 시스템이 치료 중심이라면, 삼성은 예방 중심의 변화를 지향하고 있다"며 "갤럭시워치가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인사이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일상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한국머크 헬스케어, 분당차병원과 국내 난임치료 발전 공동 연구
한국머크 헬스케어와 차의과대학 분당차병원은 국내 난임 치료 발전을 위한 공동 연구협약(MOU)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양사는 지난 6일 이번 협약을 통해 2027년 7월까지 2년간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 치료 프로토콜 최적화를 위한 난임 치료 결과 예측 모델 개발 ▲ 환자 대상의 웹 데이터베이스 개발 ▲ 국제 학술지 공동 출판 및 국제 학회 공동 발표 등 과학적 협력과 학술 교류 확대 등을 함께 수행하기로 했다. 양 기관은 연구 데이터 교차 검증 및 분석을 위한 운영 체계를 마련하고,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승인 등 윤리기준과 관련 법규에 따른 데이터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절차를 준수하며 연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윤상욱 분당차병원장은 "이번 협약은 국내 난임 치료의 질 향상과 환자 맞춤형 연구 생태계 조성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오랜 시간 난임 치료제의 연구와 개발을 이어오고 있는 한국머크와의 협력을 통해 정밀의료 실현을 가속화하고, 환자 중심의 치료 환경을 선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크리스토프 하만 한국머크 헬스케어 대표는 "생명과학 분야의 오랜 연구 노하우를 가진 두 기관이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 환자들에게 보다 정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