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WHO, 내달까지 중저소득국 전문가 대상 백신 생산 실습

한국, '글로벌 바이오 인력 양성 허브'로서 교육 실시

 보건복지부는 28일부터 4주간 세계보건기구(WHO), 국제백신연구소(IVI)와 함께 중·저소득국 인력을 대상으로 세포 기반 백신·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 실습 교육을 한다.

 우리나라는 2022년 2월 WHO로부터 '글로벌 바이오 인력 양성 허브'로 지정돼 지난해까지 3년간 2천907명을 교육했다.

 이번 교육에는 파키스탄, 알제리, 가나, 에티오피아, 태국 등 20개국의 백신·바이오의약품 관련 공·사기업 및 연구소에 몸담은 전문가 35명이 교육생으로 참여한다.

세포 기반 백신 생산공정 실습교육 국가별 선발 현황

 이번 교육은 ▲ 백신 개발 품질 고도화 ▲공정 관리 ▲의약품 품질 시스템 ▲ 무균 공정 등으로 이뤄졌다.

 특히 교육생들은 이번 교육에서 생산 공정상 반드시 해야 하는 표준작업지침서(SOP) 작성 등을 직접 실습을 통해 익힐 예정이다.

 이들은 또 안동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의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 인증 시설에서 국제 표준에 맞는 생산 환경을 직접 체험한다.

 복지부는 이번 교육을 포함해 올해 총 4개의 글로벌 실습 과정을 운영할 계획이다.

 오는 11월에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생산 공정, 항체의약품 생산 공정, 바이오의약품 GMP 실습 등을 이어간다.

 정은영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올해는 특히 실습 위주의 교육을 강화해 교육생들이 자국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도록 설계했다"며 "앞으로도 교육을 확대함으로써 바이오헬스 분야 선도 국가로서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혁신 신약 개발 플랫폼 '프로탁'이용,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 개발
국내 연구진이 혁신적인 신약 개발 플랫폼으로 주목받는 '프로탁'을 이용해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최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심만규 선임연구원과 건국대 박주호 교수 연구팀이 난치성 유방암인 삼중음성 유방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 치료제 '나노탁'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나노탁은 프로탁과 나노 의약을 합친 말이다. 프로탁은 질병을 유발하는 표적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저분자 화합물로, 최근 임상에서 높은 효과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최근 암세포나 암 관련 유전자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면역항암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암종에서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빛을 쪼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광역학 치료가 면역반응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삼중음성 유방암 같은 고형암의 저산소 환경에서는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 연구팀은 프로탁과 암 조직 내 면역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광감각제(빛에 반응하는 약물)를 결합해 암 조직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나노 치료제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탁을 삼중음성 유방암 동물 모델에 투여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