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적막했던 의과대학 다시 활기…강의실엔 입대 공백도

압축·단축 없이 학사 과정 운영에 교수진 "잘 따라오라" 독려

  "그동안 배우지 못했던 공부를 쉴 새 없이 해야 한다는 생각에 걱정도 되지만 잘 해내고 싶습니다."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해 학교를 떠났던 의대생들이 1일 다시 캠퍼스로 돌아왔다.

 이날 오전 부산대 의과대학이 있는 양산캠퍼스는 오랜만에 학생들의 대화 소리로 활기를 띠었다.

 지난 1년 6개월 동안 적막하기만 했던 강의실과 복도가 비로소 학생들로 채워진 것이다.

 개강을 맞은 의대생들은 여느 대학생처럼 지치고 피곤한 기색을 보였다.

 오전 8시 30분에 진행된 1교시 수업을 마친 김모씨는 "방학이 끝나고 아침 일찍부터 대면 수업을 들으려니 피곤해하는 친구들이 많다"며 "복귀가 결정된 뒤 온라인으로 미리 수업을 들은 게 적응에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학생들로 가득 채워졌어야 할 일부 강의실은 절반가량 비어있었다.

 남학생들이 현역으로 군에 입대하면서 자리를 비운 탓이다.

 이날 수업이 진행된 본과 2학년은 입대한 학생이 가장 많은 학년으로, 정원 125명 가운데 70여명만이 수업에 참여했다.

 임선주 부산대 의대 의학교육학교실 교수는 "24∼25살인 학생들이 현역으로 입대를 많이 하다 보니 강의실이 다소 허전한 분위기"라고 말했다.

  교수들은 첫 수업인 만큼 시험 일정을 비롯한 학사 운영 계획을 안내했다.

 부산대는 그동안 듣지 못한 수업을 압축하거나 단축하지 않고, 계절학기와 학기 중 여러 차례에 걸쳐 보충하기로 했다.

 의대 한 교수는 "과거에도 의대 정원 확대에 반대한 학생들이 휴학하는 일이 있었지만 이렇게 길진 않았다"며 "사실상 방학이 사라진 만큼 학생들이 힘들겠지만 잘 따라와 주길 바란다"고 독려했다.

 이어 기존에 복귀한 학생들과 화합을 이뤄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임 교수는 학생들에게 환영 의사를 밝히며 "다 같이 열심히 해서 화합해 나가도록 하자"며 "혹시  어려움을 겪는 학생은 학내 교수님에게 찾아가 상담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학내 전문 상담원, 정신과 교수와의 진료 의뢰도 연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복귀 초반에는 기숙사나 자취방을 구하지 못해 곤란을 겪은 학생도 있었으나 지금은 안정을 되찾았다.

 본과 2학년에 재학 중인 고모(24)씨는 "자취방을 못 구하거나 기숙사 신청을 안 한 친구들이 혼란스러워했지만, 지금은 안정됐다"며 "이제 동기들과 함께 열심히 공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수술 빨라지길"…전공의 병원 복귀 첫날, 환자들 기대·안도
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해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1일 수련 재개로 상당수 현장으로 복귀하면서 환자들은 환영의 뜻과 함께 기대감을 나타냈다. 1일 오전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은 '의료대란' 당시와 다를 바 없이 북적였지만, 전공의처럼 보이는 의사 가운을 입은 청년들이 곳곳에서 눈에 띄어 차이가 있었다. 서울대병원에서는 '환자의 개인정보 예방을 위해 병원 내 촬영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안내문이 병원 곳곳에 비치된 채 의정 갈등 사태의 흔적으로 남은 가운데, 흰 가운의 젊은 의사들이 바쁜 발걸음을 재촉했다. 성북구 고려대 안암병원도 안정세를 찾은 분위기였다. 의료진은 각자 진료나 수술을 위해 바삐 걸음을 옮기느라 분주한 모습이었다. 다만 이들은 전공의 복귀 관련 질문에 대해서는 손사래를 치는 등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환자들의 분위기는 사뭇 달랐다. 병원에서 만난 환자들은 전공의 복귀를 환영하며 기대감과 안도감을 드러냈다. 서울대병원에서 아들의 신장 이식 수술을 기다리는 중이라는 한 어머니는 "이식을 받기 위해 7월 초부터 입원해서 기다리고 있다"며 "수술받을 사람이 많아서 대기 중인데 전공의가 복귀하면 더 빨라질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희귀질환자 눈물닦는다…신약 고속도로 열고 의료비부담 낮춰
수억 원에 달하는 약값과 기약 없는 기다림에 지쳐있던 희귀·난치질환 환자들에게 희망의 빛이 비치고 있다. 정부가 환자들의 오랜 염원에 응답하며 신약의 건강보험 적용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의료비 부담을 대폭 완화하는 국가책임 강화 방안의 청사진을 공개했다. 이는 단순히 비용을 지원하는 차원을 넘어, 환자들이 적시에 최상의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 신약 등재 기간 90일 단축…'고속도로' 열린다 보건복지부와 국정기획위원회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는 희귀중증 질환자의 치료비 부담 완화를 국정과제로 추진하는데, 여기서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신약의 신속한 건강보험 등재를 위한 '고속도로'가 깔린다는 점이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평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약가 협상으로 이어지는 단계별 절차는 환자들에게 너무나 긴 시간이었다. 정부는 이 세 가지 절차를 동시에 진행하는 '허가-평가-협상 연계 시범사업'을 본사업으로 단계적으로 전환해 신약이 환자에게 도달하는 시간을 최대 90일까지 단축할 계획이다. 생사의 갈림길에서 하루가 급한 환자들에게 이는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시간이다. ◇ 소득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