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서울대 연건캠퍼스 의과학관 [연합 자료사진]</strong>](http://www.hmj2k.com/data/photos/20251041/art_17598757739182_052a67.jpg?iqs=0.4123670495922398)
질병 연구와 의료기술 혁신을 위해 길러진 '의사과학자' 절반이 연구소가 아닌 병원에서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용태 의원실이 최근 서울대 등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올해까지 의사과학자 양성사업에 참여한 서울대 의과대학 재학생은 148명이다.
이 중 교육과정을 마친 48명이 진출한 분야는 연구학술기관 23명(47.9%), 의료보건기관 22명(45.8%)이다.
지난달 기준 보건복지부 의사과학자 양성사업을 수료한 77명 가운데 36명(46.8%)은 임상·연구 분야에 종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순수 연구 분야에 종사하는 것은 34명(44.2%)이다.
27명은 박사후연구원으로, 7명은 연구 전담 조직에서 일하고 있다.
임상 치료 경험과 과학 연구 전문성을 토대로 질병 연구와 의료기술 혁신에 기여하는 인재를 키워내는 의사과학자 양성사업 취지가 무색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용태 의원은 "지금의 의대 기반 과정으로는 의사과학자 양성에 한계가 있다"며 "의사와 비교해 연구직의 소득이 매우 적고 연구 환경이나 진로가 어렵다 보니 우수인력 확보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의대가 아닌 공과대학을 중심으로 의사과학자를 양성하려는 대학도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2004년 의과학대학원을 설립해 운영해오고 있으며, 포항공대(POSTECH)는 연구중심의대 설립을 추진 중이다.
글로벌 바이오헬스 시장은 내년이면 19조7천억 달러(약 2경7천617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그러나 병원이 아닌 연구소로 가는 한국 의대 졸업생은 연간 30명 정도로 연간 1천700명의 미국과 비교하면 크게 뒤처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