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em>혈액암으로 혈액세포를 만드는 조혈모세포가 암세포로 변질될 경우 정상적인 조혈모세포를 이식하는 치료를 시행한다. [출처 국가건강정보포털]</em></strong>](http://www.hmj2k.com/data/photos/20251042/art_17605632105633_01bfe6.jpg?iqs=0.8174595226494786)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에 대한 필수예방접종 지원 확대 필요성에 공감하며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취지로 발언했다.
임 청장은 지난 1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 김남희 의원으로부터 '필수예방접종 사각지대에 있는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지 않느냐'는 질의를 받고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공감하고 그에 대한 준비를 좀 하려고 한다"고 답했다.
혈액암 등으로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환자는 면역력이 사라지기 때문에 각종 감염병 예방을 위해 필수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
통상 감염병 15종을 예방하기 위해 각종 백신을 22차례 맞는다.
지난해의 경우 3천413명이 조혈모세포 이식수술을 받았으나 12세 이하 970명만 접종 지원을 받았다.
김 의원은 "(지원받지 못하는 환자 중에는) 만성질환이 많이 생기는 50대와 건강이 취약해지는 60대 이상의 어르신들이 많다"며 "이들에 대한 국가 차원의 각별한 관심과 지휘가 필요한 상황인데 청소년·성인·어르신에게는 일체의 지원이 없다"고 지적했다.
임 청장은 김 의원의 의견에 공감을 표한 뒤 "(지원을 위한) 재정 확보, 이식 환자에 대한 등록 관리 체계 등을 정리해서 보고하겠다"고 말했다.
대상포진 접종 지원이 지방자치단체별로 달리 이뤄져 건강 불평등을 야기하므로, 아예 국가예방접종에 포함해야 한다는 요구에는 신중한 입장을 표했다.
임 청장은 "(대상포진은) 국가예방접종사업에 포함돼 있지 않은데, 여기엔 두 가지 우선순위가 있어야 지정된다"며 "첫째로는 집단면역을 확보해서 유행을 통제하고 전파를 억제하는 목적, 두 번째는 사망과 중증화율 위험이 높은 질환이라는 순으로 우선순위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여러 가지 변화하는 시대환경에 따라서 우선순위를 고려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2026년에 국가예방접종 우선순위를 재평가하는 시기가 되는데, 그때 전문가들과 진지하게 논의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