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틴 계열(-statin)의 고지혈증 치료제가 만성 간 질환(CLD: chronic liver disease)이 중증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만성 간 질환은 하나의 독립적인 질환이라기보다 만성 간염에서부터 간 섬유화를 거쳐 간경변증으로 진행하는 연속적인 질환을 말한다. 미국 컬럼비아 대학 의대 내과 전문의 라자니 샤르마 교수 연구팀이 합계 30일 이상 스타틴이 처방된 만성 간 질환 환자 3천862명과 이들과 성향 점수를 매치(propensity score matching)시킨 스타틴이 처방되지 않은 만성 간 질환 환자 3천862명을 대상으로 14년간 진행한 추적 연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최근 보도했다. 성향 점수 매칭이란 실험군과 대조군 두 집단의 데이터를 점수로 매치시켜 비슷한 성향을 갖는 집단으로 만드는 연구 방법이다. 이 연구에서는 연령, 성별, 만성 간 질환 진단 연도와 간 질환의 유형, 간 조직학(liver histology) 등을 매치시켜 대조군을 설정했다. 전체적으로 스타틴이 처방된 그룹은 스타틴이 처방되지 않은 대조군보다 만성
제약·바이오 업체들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 힘을 합치고 있다. 7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AI를 활용한 신약 후보물질이 국내에서만 100건 이상 개발 중이다. 이중 절반 이상은 국내외 업체 간 협업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 특히, 51곳으로 알려진 국내 AI 신약 개발 기업들은 최근 대형 제약사와 기술 공급, 공동연구 협약 등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에이인비는 최근 HK이노엔[195940]과 신약 공동개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HK이노엔은 에이인비 플랫폼을 활용해 세포·유전자치료제 개발에 적용할 새 항체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백신 개발을 위한 항원 디자인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지난해 유한양행[000100]과 AI 기반 KRAS(암 유발 인자) 저해제를 공동연구하고 기술이전하는 계약을 했다. 이 회사는 AI 플랫폼 '케미버스'를 활용해 백혈병 치료제 후보물질 'PHI-101'을 발굴해 현재 국내와 호주에서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온코크로스도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이 회사는 약물에 최적인 질환을 찾는 AI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 2월에는 제약사 보령[003850]과 고혈압 치료제 '카나브'의 적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와 미국 칼텍(캘리포니아공과대) 공동연구팀이 새로운 우울증 치료 효능물질 개발에 성공했다. 4일 지스트에 따르면 생명과학부 김용철 교수 연구팀이 미국 칼텍 윌리엄 고다드 교수 연구팀과 함께 우울증 치료제의 실마리가 될 'KOR β-아레스틴 역작용제'를 개발했다. KOR(카파 오피오이드 수용체:Kappa Opioid Receptor)은 신경계에서의 진통작용 및 우울증 등과 연관된 다양한 신호전달 과정을 조절하는 수용체 중 하나다. 스트레스나 불쾌한 자극에 장기간 노출되면 KOR 시스템이 과도하게 활성화돼 우울증 등 다양한 정신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연구팀은 최적화된 화합물의 설계 및 합성으로 강력하고 선택적으로 KOR의 활성도를 낮추는 역작용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역작용제는 수 나노몰(9.33 nM) 수준의 저농도 투여로도 KOR과 β-아레스틴의 결합을 현저하게 억제함으로써 KOR의 활성도를 크게 낮출 수 있음이 확인됐다. 연구성과는 의약화학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인 '저널 오브 메디시널 케미스트리(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에 4월 13일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김용철 교수는 "현재 사용되는
출혈 부작용 위험이 없는 새로운 항응고제가 개발됐다. 항응고제는 혈액의 응고 능력을 감소시켜 혈관의 혈전 형성을 방지하는 약물이다. 출혈이 발생하면 우리 몸은 혈액을 응고해 이를 막는다. 항응고제는 이러한 혈액 응고 기능을 억제하기 때문에 출혈을 유발할 수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항응고제(헤파린, 와파린 등)들은 대부분 출혈 부작용 위험이 있기 때문에 신중히 용량을 조절하고 경과를 예의 관찰해야 한다.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과 미국 미시간 대학의 공동 연구팀이 출혈 위험 없이 혈액 응고를 막는 신물질 MPI-8을 개발했다고 UPI 통신이 최근 보도했다. MPI-8은 자연적인 혈액 응고 과정을 방해함이 없이 혈액 응고를 가속하는 분자인 폴리인산염(polyphosphate)을 억제, 혈전 형성을 차단한다고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 의대 병리·실험의학과의 야이 카자케다투 교수는 밝혔다. 이 새로운 항응고제는 생쥐 실험에서 기존의 항응고제들보다 더 안전하고 효과가 크면서 출혈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그는 설명했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임상시험이 필요하다고 그는 덧붙였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과 미식간 대학은 이 새로운
질병관리청은 항생제의 적정 사용관리를 위해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 '항생제 사용관리 프로그램(ASP) 통합 운영 가이드라인'을 배포했다. ASP는 의료기관의 체계적인 항생제 사용지원·관리 추진계획이다. 질병청은 대한감염학회와 대한항균요법학회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 가이드라인은 ASP 적용 기본 원칙과 실행을 위한 핵심요소를 9개의 질문을 통해 제시했다. 질병청은 유관 학·협회를 통해 가이드라인을 의료기관에 배포하고 홈페이지(www.kdca.go.kr)에도 게시한다. 항생제의 부적절한 사용은 약제 부작용과 항생제 내성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영국의 항생제 내성보고서(2016년 발표)는 2050년까지 항생제 내성 문제가 지속되면 전 세계적으로 1천만명의 사망자가 발생할 수 있다고 예측하기도 했다. 국내의 경우 2020년 항생제 사용량은 21.0 DID(인구 1천명당 하루 의약품 소비량)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4번째로 높다. 2019년 전국 의료기관 대상 항생제 처방 질적 평가에서는 전체 항생제 처방 중 26.1%가 부적절한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2022년 의사 대상 항생제 인식도 조사에서는 의사의
중추신경계 질환인 파킨슨병의 새로운 치료제 IPX203의 효과를 확인하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파킨슨병은 운동을 조절하는 뇌 부위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생산 신경세포가 서서히 소실되면서 근육 경직, 몸 떨림, 느린 동작 같은 운동장애가 나타나는 중추신경계 질환이다. 미국 신시내티 대학 신경·재활의학의 알베르토 에스파이 교수 연구팀이 파킨슨병 환자 419명을 대상으로 9개월에 걸쳐 진행한 임상시험에서 IPX203의 효과가 확인됐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IPX203을 하루 3번만 투여해도 하루 5번 투여해야 하는 기존의 치료제 레보도파(levodopa)보다 효과가 더 좋았고 효과 지속시간도 30분 더 길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미국 제약사 앰닐(Amneal)이 개발한 IPX203 캡슐은 현재 파킨슨병 치료제로 쓰이고 있는 레보도파의 개량형이다. 성분이 즉시 인체에 흡수되는 레보도파 과립과 서서히 흡수되는 서방정인 레보도파 비드(bead)를 혼합한 것이다. IPX203이 미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으면 IPX203도 현재 사용되고 있는 레보도파처럼 하루 5회 투여하게 될 것으로 연구팀은 예상했다. 그렇게 하면 혈중
대웅제약은 자체 개발한 2형 당뇨병 치료제 '엔블로정'을 다음 달 1일 국내에 출시한다고 28일 밝혔다. 엔블로정은 지난 25일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라 당뇨병 용제로서 약제 급여 목록에 등재됐다. 적응증(치료범위)은 단독요법, 메트포르민 병용요법, 메트포르민과 제미글립틴 병용요법의 3건이다. 엔블로정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을 돕기 위해 투여하는 식사·운동 요법의 보조제다. 신장에서 포도당이 재흡수되는 것을 억제해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되게 하는 방식으로 혈당을 낮춘다. 엔블로정은 지난 2020년 식품의약품안전처 신속심사대상(패스트트랙) 1호 의약품으로 지정돼 국산 36호 신약으로 허가받았다. 이창재 대웅제약 대표는 "제약 산업을 선도하는 연구개발 역량과 내분비 분야에서 축적된 영업·마케팅력을 바탕으로 엔블로정을 시장에 빠르게 안착시키겠다"고 말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갈변 현상이 발생한 동아제약의 어린이 해열제 '챔프시럽'을 수거·검사한 결과 일부 제품의 미생물 한도가 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식약처는 해당 제품을 강제 회수하기로 했다. 식약처는 갈변 우려가 있는 제품의 품질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진행해 이런 결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동아제약은 잠정적으로 모든 챔프시럽을 제조·판매할 수 없게 됐다. 강제 회수 대상 제품의 제조번호는 2210043, 2210046이다. 이들 제품은 동아제약이 갈변 우려로 인해 자발적 회수를 진행하고 있는 제품 중 일부다. 식약처에 따르면 이들 제품에서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진균이 정해진 기준보다 많이 검출됐다. 제조번호 2210043 제품들에서는 성상 부적합도 확인됐다. 식약처는 의료진에게 부적합이 확인된 제품의 판매와 사용을 중지하고 대체할 수 있는 다른 의약품을 사용해달라고 당부했다. 챔프시럽의 잠정 제조·판매·사용중지 조치는 동아제약의 제조·품질 관리 적절성이 확인될 때까지 유지된다. 식약처는 챔프시럽의 추가적인 제조번호 제품에 대해 수거·검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조사 결과에 따라 필요시
대웅제약은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염산염)가 지난 1분기 처방액 100억 원을 돌파했다고 24일 밝혔다. 의약품 통계 정보 유비스트(UBIST)에 따르면 펙수클루의 올해 1분기 처방액은 108억 원으로, 지난해 4분기 83억 원보다 약 31% 증가했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자체 개발해 지난해 7월 출시한 신약이다. 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 급성위염 개선 등에 쓰인다. 대웅제약은 펙수클루가 월별 처방액 기준으로는 지난 2월부터 같은 계열 치료제 중 3위를 기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회사는 상반기 내 주요 상급 종합병원으로 처방처를 확대하고 국내외 심포지엄과 학회 등에 참석하며 마케팅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다음 달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 소화기 관련 국제 학회 '2023 미국 소화기학회'(DDW)에서도 펙수클루의 우수성을 알리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