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권력서열 3위 펠로시 대만 방문…대만해협 긴장 최고조 미국 권력 서열 3위인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이 중국의 강력 반발에도 결국 2일 대만 땅을 밟았다. 펠로시 의장은 1997년 뉴트 깅그리치 하원의장 이후 25년 만에 대만을 찾은 미국 최고위급 인사다. 중국은 즉각 대만을 포위하는 대대적 무력 시위를 예고함에 따라 대만 해협 긴장이 고조되면서 '신냉전'으로 불려온 미중관계는 당분간 한 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격랑 속으로 빠져들 전망이다. 펠로시 의장을 포함해 미국 하원의원 대표단이 탑승한 C-40C 수송기가 이날 밤 10시44분께(현지시간) 대만 타이베이 쑹산공항에 도착했다. 펠로시 의장은 공항에 도착한 직후 낸 성명에서 "미 의회 대표단의 대만 방문은 대만의 힘찬 민주주의를 지원하려는 미국의 확고한 약속에 따른 것"이라며 "전 세계가 독재와 민주주의 사이에서 선택을 마주한 상황에서 2천300만 대만 국민에 대한 미국의 연대는 오늘날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20803001800074 광고 대만에 도착한 펠로시 미 하원의장 [타이베이 AP=연합뉴스. 대만 외교부
■ 코로나19 신규확진 11만명 안팎…4월중순 이후 최고치 예상 코로나19 재유행이 이어지면서 2일 발표되는 신규 확진자 수가 4월 중순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인 11만명 안팎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전날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전국 17개 시도에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사람은 10만6천367명으로, 집계 마감 시점인 자정까지 신규 확진자가 늘어 11만명 선을 넘을 가능성이 있다. 신규 확진자 수 11만명대는 지난 4월19일(11만8천474명)과 4월20일(11만1천291명) 이후 100일 넘게 없었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20801160300530 ■ 행안부 경찰국 오늘 출범…초대국장에 김순호 치안감 행정안전부 경찰국이 2일 공식 출범한다. 경찰국은 경찰법과 경찰공무원법 등 개별 법률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총경 이상 경찰공무원 임용 제청 권한 등 행안부 장관의 책임과 권한 수행을 지원한다. 경찰국은 총괄지원과, 인사지원과, 자치경찰지원과 등 3과 16명으로 구성된다. 초대 경찰국장으로는 비(非)경찰대 출신의 김순호(59·경장 경채)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안보수사국장(
■ 태풍 '송다' 영향 중·남부지방 호우주의보…중대본 1단계 가동 행정안전부는 31일 서울, 경기와 전남, 경남에 호우주의보가 발표됨에 따라 호우 대응을 위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단계를 오후 11시부로 가동했다. 위기 경보 수준은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올렸다. 기상예보에 따르면 전날부터 시작된 비는 모레(8월 2일)까지 전남권과 경남, 제주 등에 누적 50∼100㎜ 내릴 것으로 전망되고, 많은 곳은 200㎜ 이상까지 올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제주와 남해안, 지리산 부근은 시간당 30∼50㎜ 이상의 집중 호우, 경기와 경북 일부 지역에는 시간당 20∼30㎜ 이상의 강한 비가 올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중대본부장(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취약시간대인 야간 호우에 대비해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산사태 우려 지역, 급경사지, 산불피해 하류 지역 등 사전점검 및 사전 주민 대피를 하라고 관계기관에 지시했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20731058400530 ■ '송다' 태풍에서 열대저압부로 약화…'트라세'는 제주 향해 북진 제5호 태풍 '송다'가 열대저압부로 약해졌다. 1일 기상청 국가태풍센터에 따르면
■ 美 '물가잡기' 연속 자이언트스텝…한미, 2년반만에 금리 역전 40년여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에 허덕이는 미국이 물가를 잡기 위해 두 달 연속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를 한꺼번에 0.75% 포인트 올리는 것)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이에 따라 미국과 한국의 기준 금리가 역전, 국내 경제에도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27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뒤 성명을 내고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는 기존 1.50~1.75%에서 2.25~2.50% 수준으로 상승, 한국 기준금리(2.25%)보다 높아졌다.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높아진 것은 2020년 2월 이후 약 2년 반 만이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20728005951071 ■ 파월, 9월 또 자이언트스텝 가능성 시사…"경기침체 아냐"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27일(현지시간) 연준이 오는 9월에도 자이언트 스텝(한 번에 0.75%포인트 금리인상)을 밟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파월 의장은 이날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
■ IMF,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2.5→2.3%…내년은 0.8%p 내려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5%에서 2.3%로 낮췄다. 예상보다 강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어두워진 세계 경제 전망을 반영했다. 한국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1%로 석달 전보다 0.8%포인트(p) 낮췄다. 올해보다 내년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의미다. 2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이날 이런 내용을 담은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했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20726160900002 ■ SK그룹, 미국에 29조원 추가 투자…바이든-최태원 화상면담 SK그룹이 미국에 220억달러(약 28조8천억원)를 추가 투자한다. 백악관은 미국 현지 시간으로 26일 오후 2시(한국시간 27일 오전 3시)에 진행될 조 바이든 대통령과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화상 면담을 앞두고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SK그룹의 기존 70억달러(9조1천억원) 대미투자 계획을 포함하면 총 290억달러(37조9천억원)를 투자하는 셈이라고 백악관은 전했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
■ 신규확진자 이미 10만명 육박…'더블링' 둔화에도 증가세 지속 코로나19 유행 재확산세가 이어지면서 신규 확진자 수가 다시 10만명에 다가섰다.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25일 오전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전국 17개 시도에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사람은 9만4천213명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26일 오전 0시까지 집계되는 신규 확진자 수는 10만명 안팎이 될 수 있다. 중간집계가 9만명을 넘은 것은 지난 4월 19일(10만7천923명) 이후 97일 만이며, 1주일 전 동시간대(3만5천805명)와 비교하면 1.34배로 2만3천716명 늘었다. 1주 단위로 확진자 수가 2배로 늘어나는 '더블링' 현상은 2주 전(2.63배)에 비해 둔화됐다. 다만, 확진자 규모 자체가 커진 만큼 증가한 확진자 수도 많고 위중증 환자 증가세도 더블링 수준으로 가팔라진 점은 우려되는 상황이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20725161200530 ■ 尹대통령, 법무부·행안부 업무보고…한동훈·이상민과 독대 윤석열 대통령은 26일 법무부와 행정안전부의 업무보고를 받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 집무실에서
■ 총경 집단행동·심야 대기발령·감찰…확전 치닫는 경찰국 사태 행정안전부 경찰국 신설을 둘러싼 경찰 지휘부와 일선 경찰관들의 갈등이 전국 경찰서장(총경) 회의를 계기로 다시 폭발하고 있다. 지난주 윤희근 경찰청장 후보자가 경찰국 신설에 강경하게 반대해온 경찰 직장협의회 대표단과 만나면서 수습되는 듯했던 갈등이 다시 불거지자 지휘부는 다음 달 초 윤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출구전략을 고심하고 있다. 23일 충남 아산 경찰인재개발원에서 열린 전국 경찰서장 회의에서는 행안부 경찰국 신설을 두고 법·절차적 하자를 성토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특히, 심야에 경찰청이 회의를 주도한 류삼영 울산중부경찰서장을 대기발령 조치하면서 상황은 급격히 악화했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20724034100004 ■ 공시가 3억 시골집 양도세·종부세 모두 주택 수서 빼준다 앞으로 공시가 3억원 상당의 지방주택은 양도소득세와 종합부동산세 산정 때 모두 주택 수로 치지 않는다. 1세대 1주택자가 저가의 지방주택을 한 채 더 가져도 1세대 1주택자로서 기존에 누리던 양도·종부세 상 혜택을 그대로 누리는 것이다. 25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 대우조선 하청 노사협상 막판 진통…7일째도 합의 불발 대우조선해양 하청업체 노사 임금협상이 일주일째인 21일도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대우조선 하청 노사는 오전 10시 협상을 시작해 이날 여러 차례 정회와 속개를 거듭했다. 4차 속개에서 협의하던 노사는 외부에서 협상 타결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자 오후 10시 30분께 이날 타결은 어렵다고 알렸다. 전날과 비교해 견해차가 좁혀지긴 했지만, 타결에 이르기에는 부족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20721181400052 ■ 삼성, 20년간 250조원 들여 텍사스에 반도체공장 11곳 신설 추진 삼성전자가 향후 20년에 걸쳐 거의 2천억달러의 천문학적인 금액을 투자해 미국 텍사스주에 반도체 공장 11곳을 신설하는 중장기 계획을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의 이러한 초대형 투자 계획은 지난 20일(현지시간) 텍사스주 감사관실이 투자 계획과 관련해 삼성이 제출한 세제혜택신청서를 공개하면서 드러났다. 삼성전자는 신청서를 통해 텍사스주 오스틴에 2곳, 테일러에 9곳의 반도체 생산공장을 새로 짓는 방안을 제시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과 텍사스주 오스틴
■ 대우조선 하청노사 임금협상 '삐걱'…키는 '손배소' 대우조선해양 하청업체 노사 임금협상이 20일에도 성과를 보지 못한 가운데 이견이 수면 위로 떠 올랐다. 하청업체 노사는 이날 오전 11시부터 오후 11시 20분까지 12시간이 넘는 마라톤협상을 이어갔으나 결국 빈손으로 종료했다. 결렬은 아니나 협상이 마치자 양측이 각각 긴급 브리핑을 열어 고충을 털어놨다. 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는 협상이 종료한 지 10분 만인 오후 11시 30분께 브리핑을 열고 이날 '빈손 종료'의 이유로 사측의 번복을 지목했다. 사측이 3일 전까지 손해배상 청구 취하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다가 이날 오후 돌연 태도를 바꿨다는 것이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20721002900052 ■ 尹대통령, 문체·외교·통일부 연달아 업무보고 윤석열 대통령은 21일 문화체육관광부와 외교부, 통일부 업무보고를 받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으로부터 핵심 정책과 업무 추진 계획을 청취·점검할 계획이다. 보편적 문화복지 실현 방안과 한류 지속 확산 방안, 'K-컬처' 산업 규제 해소 대책 등이 의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