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시간이 너무 길거나 짧으면, 현재 의술로는 치료가 불가능한 폐섬유증(pulmonary fibrosis) 발병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수면 시간이 하루 11시간 이상이거나 4시간 이하면 '생체시계(body clock)'를 교란해 이 불치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주목할 부분은, 너무 적게 자는 사람보다 너무 많이 자는 사람의 폐섬유증 위험이 훨씬 더 크다는 것이다. 그러나 생체시계를 조작하면 폐섬유증을 완화할 수 있다는 것도 동물 실험에서 확인됐다. 이는 생체시계가 폐섬유증의 치료 표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국에서는 한해 약 5천 명이 폐섬유증으로 사망한다고 한다. 이는 백혈병 사망자와 비슷한 수치다. 영국 맨체스터대 과학자들이 주도한 이번 연구엔 영국의 옥스퍼드대·뉴캐슬대·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캐나다 토론토대 등의 연구진도 참여했다. 관련 논문은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실렸고, 맨체스터대 측은 지난해 12월 30일(현지시간)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논문 개요를 공개했다. 생체시계는, 하루 24시간을 주기로 수면, 호르몬 분비, 신진대사 등을 제어하는 신체 기능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질병 사망 원인 1위는 현재 암이 아니라 심장 질환이다. 호주 과학자들이 심근 경색(심장마비) 환자의 생존율을 대폭 높일 수 있는 'rhPDGF-AB'라는 단백질 치료제를 개발했다. 우리 말로 옮기면 '재조합형 인간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AB'라는 뜻이다. 심장마비 후에는 반흔 조직(scar tissue)이 생겨 심장 기능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rhPDGF-AB를 심장마비 환자에 투여하면 반흔 조직이 개선되고, 새 혈관이 생성되며, 돌연사를 유발하는 부정맥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현재는 심장마비 환자의 반흔 조직을 줄이기 위해, 가능한 한 신속히 혈액과 산소의 심장 공급을 복원하는 데 주력할 뿐이다. 이 연구를 수행한 호주 시드니대와 웨스트 미드 의학연구소(WIMR) 연구진은 1일(현지시간) 관련 논문을 '사이언스 중개 의학(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에 발표했다. 시드니대가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한 논문 개요에 따르면 10년 넘게 이 프로젝트에 매달려 온 연구팀은 마침내 두 종의 동물 실험에서 이런 결과를 얻었다. 논문의 교신저자인 제임스 충 의대 부교수는 "심장마비로 생긴
사람의 몸속 암세포에서 나오는 활성산소와 반응해 암세포를 죽이는 나노입자가 개발됐다. 전남대 의생명과학교실 박인규 교수 연구팀은 화순전남대병원 배우균 교수, 충남대 허강무 교수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종양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에 분해되면서 암세포를 죽이는 '광역학 나노입자'를 개발했다고 2일 발표했다. 암, 만성 염증, 뇌졸중, 심근경색 등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대인의 질병 가운데 약 90%는 활성산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나노입자는 활성산소에 반응해 종양에 선택적으로 다가가 항암제와 광역학 치료물질을 동반 방출해 암세포를 죽일 수 있다. 또 기존 항암 치료법에 약물·광역학 병합 치료도 가능해 기존 항암 치료 효과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방사선 치료기술, 면역 치료기술 등과의 병합치료를 통해 기존 치료법으로 완치가 어려운 난치 암의 근본적 치료법을 개발한다. 파킨슨, 알츠하이머나 패혈증 등 염증 관련 질환에 선택적으로 약물을 전달하는 기술 개발도 추진할 예정이다. 박 교수는 "나노입자는 체내에서 장기간 체류 순환하면서 미세한 종양 부위에 효과적으로 축적되고, 종양에서 과다 생성된
술 마시는 횟수를 줄이면 부정맥인 심방세동(AF: atrial fibrillation)의 빈도도 줄어든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심방세동은 심장의 윗부분인 심방이 이따금 매우 빠른 속도로 수축, 마치 그릇에 담긴 젤라틴처럼 가늘게 떠는 상태가 되면서 심박수가 급상승하는 현상이다. 당장 생명에 위협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이런 일이 잦을수록 뇌경색 위험이 커진다. 호주 멜버른 알프레드 병원(Alfred Hospital) 전기생리학 실장 피터 키스틀러 박사 연구팀이 심방세동이 있으면서 술을 마시는 140명을 대상으로 120일 동안 진행한 실험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로이터 통신이 1일 보도했다. 이들 중 3분의 2는 항부정맥제를 복용하고 있었다. 일주일에 평균 13잔 마시는 사람은 73%가 심방세동이 재발한 데 비해 일주일에 평균 2잔으로 줄인 사람은 재발률이 53%로 줄었다. 술을 줄인 사람은 또 심방세동 재발 간격도 길어졌다. 술을 완전히 끊은 사람은 이보다 더 큰 효과가 나타났다. 술을 줄이거나 끊은 사람은 이와 함께 체중도 평균 3.6kg 줄고 혈압도 상당히 낮아졌다. 하루 한 잔 정도의 술은 심장 건강에 이롭다는 얘기도 있지만, 심방세동 환자에게
유방암 검사를 위해 촬영된 유방 X선 영상(mammogram) 판독은 AI(인공지능)가 영상의학 전문의보다 더 정확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유방영상실장 콘스탄스 레먼 박사 연구팀이 미국과 영국에서 진행한 테스트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뉴욕타임스 인터넷판이 1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먼저 유방암 여부 진단이 이미 내려진 미국 여성 약 1만5천명과 영국 여성 약 7만5천명의 최초 유방 X선 영상을 이용, 유방암 판별법을 컴퓨터에 훈련시켰다. 이어 또 다른 미국 여성 3천명과 영국 여성 2만5천명의 유방 X선 영상을 이용, AI 컴퓨터와 영상의학 전문의 판독 결과를 비교했다. 이 유방 X선 영상들은 과거에 찍어 이미 최종 진단이 내려진 것이었다. 미국 여성의 경우 암을 놓치고 '정상'으로 판독된 '허위 음성'(false negative) 비율이 AI가 영상의학 전문의들보다 9.4% 적었다. 암이 없는데 '비정상'으로 판독된 '허위 양성'(false positive) 비율 역시 AI가 영상의학 전문의들보다 5.7% 적었다. 영국 여성의 경우도 AI의 판독이 영상의학 전문의보다 더 정확했다. '허위 음성' 비율은 AI가 영상의학 전
알츠하이머 치매의 원인은 지금까지 거의 정설로 여겨져 온 뇌 신경세포의 표면 단백질 베타 아밀로이드의 응집이 아니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베타 아밀로이드가 잘못 접히면서 서로 뭉쳐 플라크(plaque)를 형성하면 독성을 띠면서 신경세포의 신호전달 시스템인 시냅스(synapse)를 파괴, 치매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치매 전문가들은 굳게 믿고 있다. 미국 재향군인 샌디에이고 헬스케어 시스템(VA San Diego Healthcare System)의 케슬리 토머스 박사 연구팀은 치매 초기의 미세한 인지기능 저하는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 출현 이후가 아니라 그 전에 시작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와 헬스데이 뉴스가 30일 보도했다. 747명(평균연령 72세)을 대상으로 기억력과 사고력의 미세한 변화를 포착하기 위해 4년에 걸쳐 여러 가지 테스트를 진행하면서 매년 뇌 촬영을 통해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의 수치를 측정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팀은 이들을 기억력과 사고력에 미세한 변화가 나타난 그룹(153명), 치매로 이어질 수 있는 경도인지장애(MCI: mild cognitive impairment) 그룹(289명)
가정용으로 많이 쓰이는 피레스로이드(pyrethroid pesticide)계 살충제 노출이 심장병 사망 위험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아이오와대학 보건대학 바오웨이(Wei Bao) 역학 교수 연구팀은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에 많이 노출되면 적게 노출된 사람보다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상당히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30일 보도했다. 1999~2002년 사이에 전국 보건·영양조사(NHANES)에 참가한 2천여 명(20세 이상)의 소변 중 피레스로이드 수치 측정 자료와 2015년까지의 사망 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피레스로이드 살충제 노출 최상위 그룹은 최하위 그룹에 비해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이 56%,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 위험은 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그러나 피레스로이드 살충제 노출이 심혈관질환 사망 원인이라는 증거는 아니며 둘 사이에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일 뿐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피레스로이드 노출 경로는 알 수 없으나 이 살충제가 뿌려진 과일, 야채 등 식품이나 정원에서 사용된 피레스로이드일 것으로 연구팀은 추측했다. 이 연구결
대장암은 보통 직장암과 결장암을 아울러 말하는 것이다. 그런 대장암의 약 80%는, APC라는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관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유전자는 세포 내 베타 카테닌(βcatenin) 단백질 수위를 높이는 작용을 한다. 대장암 세포에 베타 카테닌 수위가 올라가면 세포핵에 이 단백질이 쌓이면서, 암세포 증식을 몰고 오는 다수의 유전자가 활성화된다. 대장암 종양의 성장과 유지를 촉진하는 것도 이 단백질 축적의 영향이다. 그런데 수위가 높아진 베타 카테닌이 어떻게 세포핵에 들어가는지는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베타 카테닌을 대장암 세포의 핵 안으로 운반하는 '임포틴-11'이라는 단백질을 캐나다 토론토대 과학자들이 발견했다. 임포틴-11이 관여하는 이 운반 과정을 억제하는 게, 베타 카테닌의 수위 상승이 유발하는 대장암의 새로운 치료 표적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를 수행한 토론토대 약학부의 스테판 앵거스 교수팀은 27일(현지시간) 관련 논문을 국제학술지 '세포 생물학 저널(Journal of Cell Biology)'에 발표했다. 미국 록펠러대 출판부가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한 논문 개요에 따르면 임포틴은 핵 위치 신호(
고사리에 주로 존재하는 화합물이 알츠하이머성 치매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하 경과원) 바이오센터는 2017년부터 고려대학교 박길홍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진행한 결과 고사리의 '프테로신' 유도체가 노인성 질환인 알츠하이머성 치매 예방·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프테로신 유도체들은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발병과 증상 발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3가지 효소들의 활성을 모두 억제했다. 연구진은 고사리의 프테로신 유도체가 독성이 없을 뿐 아니라 기존의 치료물질과 달리 뇌-혈관 장벽 투과성이 뛰어나 알츠하이머 치료물질로서 매력적이라고 설명했다. 바이오센터 홍성수 박사는 "이번 성과는 국내 천연물 소재를 활용해 난치성 질환인 알츠하이머성 치매 예방과 치료용 의약품 개발 가능성을 찾았다는 데 의미가 있다"면서 "고사리를 섭취했을 때 이런 효과가 있는지 등은 추후 연구를 통해 밝혀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국내와 미국 특허 출원을 마쳤으며, 현재 중국에서 임상시험을 준비중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의약품 개발 분야 국제학술지인 'Experimental & Molec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