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드래곤시티, 봄나물과 다채로운 요리의 컬래버레이션을 선보이는 ‘3월 봄 프로모션’ 진행

푸드 익스체인지, 새싹·돌나물 비빔밥 등 신선한 봄 제철 재료 활용한 스페셜 메뉴 선보여
피로회복·춘곤증 해소·식욕 증진 등 다양한 효능이 있는 봄철 메뉴 제공

(미디어온) 신개념 라이프스타일 호텔플렉스 서울드래곤시티가 다가오는 봄을 맞아 봄나물과 다채로운 요리의 컬래버레이션을 선보이는 ‘3월 봄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3월 봄 프로모션’은 서울드래곤시티의 미식 프로그램으로, 노보텔 스위트 2층에 위치한 ‘푸드 익스체인지’에서 즐길 수 있다. ‘푸드 익스체인지’에서는 신선한 봄 제철 재료와 여러 가지 새싹들을 활용해 이색적인 메뉴들을 선보인다.

서울드래곤시티의 ‘푸드 익스체인지’는 전 세계 다양한 푸드 마켓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인터내셔널 프리미엄 뷔페 레스토랑으로, 어느덧 성큼 다가온 봄을 맞아 피로회복과 춘곤증 해소는 물론, 입맛을 돌게 하는 여러 가지 봄나물과 새싹들을 활용해 다양한 요리를 제공한다. 특히 무기질과 비타민을 다량 함유해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는 달래, 돌나물, 두릅을 비롯해 봄동, 더덕 등의 봄나물로 뷔페 스테이션을 가득 채웠다.

대표 메뉴로는 향긋한 봄내음과 강렬한 중국음식의 풍미를 동시에 느낄 수 있는 달래나물을 곁들인 사천식 팔보채, 이국적인 느낌이 가득한 시저 스타일 봄동·달래 무침 샐러드가 있으며 그 외 두릅을 곁들인 잡채, 더덕 우육 볶음 등을 만나볼 수 있다.

‘3월 봄 프로모션’의 가격은 1인 기준 세금 포함 주중 점심 7만5000원, 저녁 8만5000원, 주말은 8만8000원이며 프로모션에 대한보다 자세한 정보는 서울드래곤시티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李대행 "확정된 유급·제적은 철회 없어"…학사유연화 불가 재확인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각 대학은 7일까지 유급과 제적 대상을 확정해 원칙대로 처리할 것"이라며 "확정된 유급 또는 제적은 철회되거나 취소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권한대행은 지난 5일 배포한 '2025학년도 의대 학사에 관해 학생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에서 "일부 의대 학생들 사이에서 잘못된 주장이 유포되고 있어 바로잡고자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가 각 의대에 유급·제적 처분 현황을 오는 7일까지 제출하도록 요청한 가운데 일부 의대생들 사이에선 개별 대학이 대규모로 유급 또는 제적하는 건 불가능하다거나, 유급·제적되더라도 추후 학사 유연화 조치 등을 통해 복귀할 수 있다는 주장이 돌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이 권한대행이 이를 바로잡고자 지난 2일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이어받은 후 처음으로 의대생들에게 공식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다. 이 대행은 "추가적인 학사 유연화는 없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며 "미복귀로 인한 제적 등으로 결원이 발생할 경우 정부는 각 대학이 해당 결원만큼 편입학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7일이면 2025학년도 교육 대상자가 최종 확정되며, 정부는 이제 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올것이 왔다"…제약바이오업계, 트럼프 의약품 관세 대응 분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향후 2주 내 의약품에 대한 품목별 관세를 발표한다고 밝히면서 국내 제약·바이오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의약품 제조 촉진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의약품 가격과 관련, 다음 주에 큰 발표를 할 것"이라며 "전 세계 다른 나라와 비교해 우리는 매우 불공정하게 갈취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미국이 한국에서 수입한 의약품 규모는 39억7천만달러에 달한다. 미국으로 수입되는 한국산 의약품 중 바이오의약품이 37억4천만 달러로 94.2%를 차지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올해 의약품 수출이 바이오의약품의 지속적인 수요 증가와 미국·유럽 지역에서의 실적 호조로 12.6%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기도 했다.하지만 의약품 수출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이 관세를 높일 경우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큰 발표', '매우 불공정하게 갈취' 등 과격한 표현을 사용함에 따라 높은 관세율이 부과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18일 의약품 관세에 대한 질문에 "25%, 그리고 그 이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지만 지난달 2일 발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