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팔, 대한민국 대표 엔터테이너 박나래 ‘테팔 퀵 스티머’ 모델 발탁

테팔 퀵 스티머 액세스 스팀 미닛… 강력한 스팀으로 쉽고 빠른 주름 제거는 물론 900g의 혁신적으로 가벼운 무게 자랑
3월 5일, 23시 55분부터 현대홈쇼핑 통해 구매 가능… 구매 고객에게 테팔 드라이기 특별 증정

(미디어온) 주방용품부터 소형가전까지 건강한 일상을 함께하는 종합생활가정용품 전문브랜드 테팔이 대한민국 대표 만능 엔터테이너인 박나래를 ‘테팔 퀵 스티머’ 모델로 발탁했다. 

테팔은 최근 MBC "나 혼자 산다", tvN "짠내투어", "놀라운 토요일" 등 다양한 예능 프로그램에서 당당하고 자신감 넘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박나래의 건강한 이미지를 높이 평가해 ‘퀵 스티머’ 모델로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테팔 퀵 스티머의 새로운 얼굴로 활약하는 박나래는 2일 방송된 tvN "짠내투어" 상하이 편 촬영에 ‘테팔 퀵 스티머 액세스 스팀 미닛’ 제품을 직접 챙겨가 출연진의 옷을 다려주는 등 모델로써 다양한 활약상을 보여주고 있다. 

박나래가 짠내투어에서 사용한 테팔 퀵 스티머 액세스 스팀 미닛은 강력한 스팀으로 생활 속 크고 작은 주름을 쉽고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900g의 혁신적인 가벼운 무게로 손목 부담 없이 편안한 의류 관리가 가능하며, 사용 시간을 절약해주는 짧은 예열시간과 직관적인 충전 알림 등이 있어 누구나 손쉬운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고온 연속 스팀은 매일 세탁하기 힘든 셔츠, 교복 등 의류의 불쾌한 냄새 제거는 물론 눈에 보이지 않는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을 99.9%까지 살균할 수 있어 의류뿐 아니라 침구, 쇼파 등 다양한 곳에 사용할 수 있어 실용적이다. 

여기에 셀프 스탠딩 디자인으로 제품 사용 중에도 안전하게 내려놓을 수 있으며, 작은 사이즈로 좁은 공간 걱정 없이 보관이 편리하다. 

이와 함께 소비자를 세심하게 배려한 다양한 편의 기능도 돋보인다. 오랜 사용 및 세척이 편리한 150mL 물통을 비롯해 의류 소재에 따라 세심한 관리가 가능한 패브릭 브러시, 스팀 커버와 함께 옷걸이 거치대가 기본 액세서리로 제공되어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 

대세 개그우먼 박나래가 모델로 활약 중인 테팔 퀵 스티머 액세스 스팀 미닛은 지난 3월 5일 23시 55분부터 65분간 현대홈쇼핑을 통해 구매할 수 있다. 현대홈쇼핑에서만 자동주문 할인, 모바일 할인까지 더해 최종 혜택가 7만4800원에 만나볼 수 있으며, 방송 중 구매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테팔 드라이기를 특별 증정한다. 

한편 테팔은 소비자들의 마음을 읽고 일상생활을 보다 편리하고 풍요롭게 만들겠다는 사명 아래 소비자 중심의 경영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2016년에 이어 2018년 2회 연속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이 수여하는 소비자 중심 경영 인증을 받으며, 소비자의 의견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폐기물 발생을 줄이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소비자들이 오랜 기간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10년 수리 가능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6500개의 공인된 서비스 센터와 국내에는 약 44개소의 센터에서 수리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2012년도 이후 판매 제품의 97%가 이 서비스의 적용 대상이며 서비스의 정확한 해당 여부는 10년 수리 가능 서비스 로고 혹은 Tefal 고객 센터 문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정갈등 속 의사·한의사 '영역 다툼'도 격화…"공개 토론하자"
의정 갈등과 의료 공백 사태 속에서 의사와 한의사 간 영역 다툼도 심해지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8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의사들이 의료 공백을 악용해 의과 영역 침탈을 노리고 있다"며 한방 치료의 효과 등을 주제로 대국민 공개 토론회를 하자고 한의계에 제안했다. 박상호 의협 한방대책특별위원장은 "한의계는 정부의 일방적 의대 증원 사태로 촉발된 의료 공백을 악의적으로 이용해 필수·공공의료 분야에 한의사를 활용하라는 등 얄팍한 주장을 거듭하고 의과 영역 침탈을 노리고 있다"며 "경찰이 부족하다고 경비원에게 수갑을 쥐어 줄 건가. 판·검사가 부족하다고 사법고시 강사가 재판을 보게 할 건가"라고 비판했다. 박 위원장은 "의과 진단·검사기기를 사용하고 싶다면 의사 면허나 방사선사, 임상병리사 자격증이라도 따시라"며 "면허는 종이쪼가리가 아니라 생명에 대한 책임이다. 의과 진료 따라잡기와 어설픈 의학 흉내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재만 부위원장은 ▲ 한의사의 방사선·초음파 기기 사용 ▲ 리도카인 등 의약품의 무분별한 사용 ▲ 한방난임지원사업 ▲ 한의사의 치매 진단서·소견서 발급 등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면서 "국민 생명·건강을


메디칼산업

더보기
검찰, 3개 중견 제약사 수사…'전공의 리베이트' 관련
전공의들의 리베이트 수수 의혹 담당 검찰이 3개 중견 제약사를 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북부지방검찰청은 지난달 중순부터 혈액제제 전문기업 A사와 진통제 분야 중견 제약사 B사, 안과 의약품 특화 제약사 C사 3곳을 약사법 위반 혐의로 수사하고 있다. 이들 중 일부 제약사는 2021년 리베이트 제공으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 처분을 받기도 했다. 대형 병원 여러 곳을 운영하는 학교법인 D학원도 의료법 위반 혐의로 수사 대상에 포함됐다. 아울러 의사와 제약사 직원 등 8명도 각각 의료법 위반·배임수재 또는 약사법 위반·배임중재 등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이 중 일부는 뇌물을 준 경우에 적용되는 배임중재 혐의 외에도 약사법 위반, 업무상 배임, 사문서위조, 위조 사문서 행사 등 여러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앞서 서울 노원경찰서는 2019년부터 수년간 제약회사 직원들로부터 '제품 설명회'를 빌미로 회식비를 제공받은 혐의로 작년 11월 서울 한 대학병원 전공의 출신 의사들과 제약사 직원들을 불구속 송치했다. 노원경찰서는 2023년 7월 이 사건을 무혐의 처분했으나 서울경찰청의 재조사 지휘를 받고 다시 조사에 착수했고, 수사 과정에서 이번 사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