홋카이도관광진흥기구, ‘홋카이도 여행하고 항공권 받고’ 홋카이도 캠페인 실시

(미디어온) 공익사단법인 홋카이도관광진흥기구가 4월 22일부터 7월 15일까지 홋카이도 왕복 항공권을 증정하는 선물캠페인 이벤트를 마련해 한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홋카이도의 봄 시즌 홍보에 나선다.

‘떠난다면 지금! 봄의 홋카이도! 선물캠페인 2019’라는 타이틀로 진행되는 이번 이벤트는 캠페인 시작일인 4월 22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중 신치토세공항 출도착의 한일 직항편을 이용하여 홋카이도를 여행한 한국인관광객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캠페인 공식사이트 내 간단한 설문에 답한 후, 기간 내 홋카이도 여행에 사용했던 직항편 탑승권 사진을 찍어 첨부하면 된다.

응모자를 대상으로는 추후 추첨을 통해 도합 40명에게 아시아나항공의 인천-신치토세공항 간 왕복항공권이 경품으로 제공된다.

더불어 홋카이도 여행 당시 찍었던 사진을 개인 SNS에 업로드하면 홋카이도 관광PR캐릭터인 큔짱굿즈 당첨 기회를 제공하는 SNS이벤트도 같은 기간 진행한다.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의 SNS에 사진 업로드와 함께 #spring-hokkaido2019 라는 해시태그를 덧붙이면 된다.

공익사단법인 홋카이도관광진흥기구는 보다 많은 한국인관광객에게 봄 시즌 홋카이도의 매력을 발신하기 위해 캠페인을 마련했다며 캠페인 공식 사이트 내에 홋카이도 봄 시즌의 최신 관광정보도 마련하여 홋카이도 여행의 새로운 즐거움을 찾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하는 앵무새 비밀은…"뇌가 인간 뇌 언어 영역처렴 작동"
사람 말을 잘 흉내 내는 앵무새의 일종인 잉꼬가 말을 할 때 뇌의 특정 영역이 인간 뇌에서 언어와 관련이 있는 영역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대 그로스만의대 마이클 롱 교수팀은 20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서 앵무새가 소리를 낼 때 뇌 활동을 기록해 분석한 결과 앵무새 뇌가 말을 할 때 인간 뇌에서만 볼 수 있는 활동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는 인간과 앵무새가 비슷한 뇌 메커니즘을 사용해 복잡한 소리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이는 앵무새를 언어 연구와 언어 장애 치료법 개발을 위한 모델로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인간의 말은 의사소통의 한 복잡한 형태로 발성기관을 정밀하게 제어해 다양한 단어를 만들어내야 한다. 인간만이 발성을 할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은 아니며 새도 이런 형태의 의사소통을 사용하지만 그 방식은 다르다. 특히 앵무새의 일종인 잉꼬는 사람의 말을 흉내 내는 등 다양한 발성을 할 수 있으며, 연구자들은 인간과 잉꼬에서 소리를 생성하는 데 기반이 되는 신경 과정이 비슷할 것으로 추정해왔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놀랍도록 유연한 인간 음성 언어를 만드는 섬세한

메디칼산업

더보기
찢어져도 10초 안에 80% 이상 회복되는 전자피부 개발
한국연구재단은 서울시립대 김혁 교수 연구팀이 찢어져도 10초 안에 80% 이상의 기능을 복구할 수 있는 자가 치유 전자피부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웨어러블 기기의 하나인 전자피부는 촉각을 느끼거나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부착 부위 상처를 치료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한다. 하지만 마찰, 찢어짐, 스크래치 등 기계적 손상에 취약해 장기간 착용하기 어렵다. 손상을 80%까지 복구할 수 있는 전자피부가 개발됐지만, 복구하는 데 1분 정도 걸려 그사이 측정이 끊기고, 복구하려면 열이나 빛과 같은 외부 자극이 필요해 실용화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유연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에 이황화물 화합물을 도입, 외부 자극 없이도 스스로 다시 결합할 수 있는 이황화 결합을 형성하도록 설계했다. 여기에 분자 이동성이 높은 화합물을 첨가, 자가 치유 능력을 극대화했다. 이렇게 개발된 자가 치유 전자피부는 상온에서 10초 이내 80% 이상 기능을 회복하는 성능을 보였다. 고온·고습·저온·수중 등 극한 환경에서도 근전도와 심전도를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손상 후에도 자가 치유를 거쳐 신호가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했다. 김혁 교수는 "실시간 생체 신호 모니터링과 인공지능(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