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엔, 전국의 교사들이 함께 만드는 대한민국 100년 ‘엠티처 수업 자료 공모전’ 실시

5월 31일까지 전국 초∙중∙고 교사 누구나 엠티처 웹사이트 통해 참여 가능
수집된 수업 자료들은 선별 가공 후 수업자료집으로 재구성해 엠티처에서 공유

(미디어온) 교육출판전문기업 미래엔의 교수 활동 지원 플랫폼 ‘엠티처’가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전국 초·중·고 교사를 대상으로 5월 31일까지 대한민국 100년 ‘수업 자료 공모전’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전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이후의 100년사에 관련된 수업 자료를 모아 자료집으로 제작, 공유함으로써 교사들이 역사 수업의 다양한 관점과 의미를 되새기고 새로운 수업 방식을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기획됐다. 양식은 자유 형식으로 초·중·고 교사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공모를 통해 수집된 수업 자료는 선별 및 재구성 후 엠티처를 통해 공개해 교사들이 서로의 수업 자료를 참고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미래엔 교육사업본부 정장아 본부장은 “교사들이 서로의 수업 자료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더욱 흥미롭고 유익한 수업을 만들어 가는 데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기획하게 되었다”며 “앞으로도 단편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수업이 아닌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고 현실에도 적용해 볼 수 있는 새로운 수업 자료들이 많이 개발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참여를 원하는 교사는 엠티처 이벤트 페이지에 마련된 대한민국 100년 수업 자료 공모전 웹페이지를 통해 응모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최적의 뇌종양 수술 위치' 반응성 별세포 영상으로 찾는다
국내 연구진이 최적의 뇌종양 수술 위치를 반응성 별세포 영상으로 찾는 새로운 치료전략을 제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이 세브란스병원 핵의학과 윤미진 교수팀, 신경외과 강석구·장종희 교수 연구팀과 함께 뇌종양 환자의 종양 주변부에 발현하는 반응성 별세포의 대사 매개 물질인 아세트산 항진을 영상화하는 기술을 제안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기술로 종양 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의 에너지 대사 기전을 밝혀 새로운 뇌종양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 뇌 세포의 절반 이상을 구성하는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인 별세포는 알츠하이머나 염증 등에 의해 세포 수와 크기가 증가한 반응성 별세포로 활성화한다. 반응성 별세포는 다양한 뇌 병변에서 관찰되며, 뇌종양도 예외는 아니다. 연구진은 악성 종양으로 알려진 교모세포종 환자의 종양 조직 이식 동물모델로 종양 미세환경을 영상화해 분석한 결과, 아세트산이 종양세포보다는 주변에 형성된 종양 미세환경, 특히 반응성 별세포에 의해 대부분 흡수되는 것을 밝혀냈다. 종양세포는 계속 분열하기 위해 기본 에너지원이 되는 포도당을 거의 독점하다시피 이용해 빠른 에너지 대사 과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