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무역합의에 코스피 2,060대 회복…코스닥도 1%대 상승

삼성전자 16개월여만에 5만원선 회복…원/달러 환율 3.9원 내려

(서울=연합뉴스) 조민정 기자 = 코스피가 14일 미중 무역합의에 1% 넘게 상승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22.79포인트(1.11%) 오른 2,067.40으로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23.52포인트(1.15%) 오른 2,068.13으로 출발해 장중 2,075.10까지 오르는 등 강세 흐름을 이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33억원, 2천219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개인은 2천613억원을 순매도했다.

노동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중 무역협상에서 소기의 성과가 도출되면서 극단적으로 위축됐던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되돌려졌다"며 "특히 코스피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수급 주체인 외국인이 2거래일 연속 순매수했다는 점이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그는 "11월 미중 정상회담 전후로 관련 불확실성이 재차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지나친 낙관론은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에는 신한지주[055550](2.78%), 삼성전자[005930](1.73%), POSCO[005490](1.55%),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1.38%), SK하이닉스[000660](0.63%), 셀트리온[068270](0.55%) 등이 올랐다.

특히 삼성전자 종가는 5만100원에 형성돼 작년 6월 7일(5만600원) 이후 1년 4개월여만에 5만원선을 회복했다.

현대차[005380](-3.17%), 현대모비스[012330](-1.43%) 등은 내렸다.

업종별로는 운수창고(2.82%), 의료정밀(2.69%), 종이목재(2.59%), 은행(2.38%), 증권(1.74%), 기계(1.63%), 보험(1.56%), 철강금속(1.48%), 전기전자(1.34%), 화학(1.30%), 섬유의복(1.28%), 의약품(0.96%), 음식료품(0.64%) 등 대부분 강세였고 운송장비(-1.08%)만 약세였다.

주가가 오른 종목은 668개였고 내린 종목은 159개였다. 61개 종목은 보합 마감했다.

프로그램 매매에서는 차익거래가 매수 우위, 비차익거래는 매도 우위로 전체적으로는 471억원의 순매도로 나타났다.

유가증권시장의 거래량은 4억9천813만주, 거래대금은 4조4천890억원이었다.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8.51포인트(1.34%) 오른 641.46으로 마감했다.

지수는 5.70포인트(0.90%) 오른 638.65로 출발해 장중 상승세를 유지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개인이 103억원, 외국인이 343억원을 각각 순매수했다. 기관은 313억원을 순매도했다.

시총 상위주 가운데는 에이치엘비[028300](10.68%), SK머티리얼즈[036490](4.90%), CJ ENM[035760](2.40%), 스튜디오드래곤[253450](2.15%), 헬릭스미스[084990](2.12%), 휴젤[145020](1.88%), 메디톡스[086900](1.45%) 등이 올랐다.

코오롱생명과학[102940]은 코오롱티슈진[950160]이 일단 상장폐지 위기를 모면한 데 힘입어 가격제한폭(30.00%)까지 상승했다.

케이엠더블유[032500](-4.39%), 펄어비스(-0.60%) 등은 내렸다.

코스닥시장의 거래량은 6억3천760만주, 거래대금은 3조9천122억원 수준이었다.

코넥스 시장에서는 114개 종목이 거래됐고 거래량은 29만주, 거래대금은 15억원가량이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달러당 3.9원 내린 1,184.9원으로 마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목숨 위협하는 독감 합병증…"독감·폐렴구균 백신 접종해야"
대만의 유명 배우이자 가수 구준엽의 부인인 쉬시위안(徐熙媛·48)이 인플루엔자(독감)에 걸린 후 폐렴 합병증으로 사망한 것이 알려지면서 독감과 폐렴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고위험군이나 면역 기능이 떨어진 사람에겐 독감이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독감과 폐렴구균 백신 접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5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폐렴은 관련 바이러스·세균·곰팡이·기생충 등에 감염돼 호흡기(폐)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증상은 기침과 노란 가래, 발열, 늑막염으로 인한 가슴 통증, 호흡 곤란 등이며 가벼운 폐렴은 감기와 유사하다. 심하지 않으면 항생제 치료 없이 회복되기도 하지만, 드물게 폐렴이 심한 경우 호흡부전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폐렴으로 인한 사망 위험군은 소아나 노인, 면역 기능이 떨어진 환자 등이다. 폐렴의 주 원인은 바이러스와 세균이다. 대부분 기도를 통해 병원체가 침입하여 염증이 시작된다. 특히 쉬시위안과 같이 독감에 걸리면 이 같은 병원체 침입에 취약해져 폐렴에 걸리기 쉽다. 정재호 국제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독감 바이러스로 인해 몸이 공격을 받은 상태에서 면역력이 떨어지면 바이러스나 세균으로 인한 2차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뇌에 플라스틱 숟가락 한개씩…" 미세플라스틱 탓 치매 가능성 걱정까지
미세플라스틱이 질병을 부를 가능성까지 의심할 정도로 인체를 급속히 오염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뉴멕시코대 연구진은 시신을 수십구 해부해 미세플라스틱의 인체 오염도 추이를 조사한 논문을 학술지 네이처메디신에 3일(현지시간) 게재했다. 논문에 따르면 2024년 초 시신들의 신장과 간에서는 2016년 시신들보다 7∼30배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측정됐다. 이는 에베레스트에서부터 마리아나 해구까지 광범위하게 퍼진 미세플라스틱이 사람들 장기에도 점점 많이 쌓이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연구진은 예민한 기관인 두뇌에서도 2016년보다 2024년에 50% 많은 미세플라스틱을 관찰됐다. 논문의 공동 저자인 매슈 캠펜 교수는 CNN에 "평균 45∼50세 정도인 보통 사람들의 뇌 조직에서 우리가 관측한 농도는 1g당 4천800μg(마이크로그램·100만분의 1g)이며 무게로 따질 때 0.48%"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우리 뇌가 99.5%는 뇌이고 나머지는 플라스틱인 셈"이라며 머리에 플라스틱 숟가락이 한 개씩 온전히 들어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사망 전에 치매 진단을 받은 이들의 두뇌에서는 파편 같은 플라스틱 조각이 건강한 이들보다 3∼5배 많다는 점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