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고수들 "일부러 환승" 무료 환승숙박의 매력

항공사별 무료 숙박 서비스…원기회복과 무료여행까지 즐길 수 있어

 최근 인천공항 지하 식당에서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온 부부를 만났다.

맵지 않은 음식을 찾기에 도움을 주며 몇 가지 물어봤더니 그들은 인천공항에서 환승하며 서울에서 무료로 시티투어를 즐긴 뒤 돌아오는 길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세계 각국 항공사들은 환승객들을 유치하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환승 시간이 긴 승객들에게는 무료 숙박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런 항공사 서비스를 항공 용어로는 STPC(Stopover Paid by Carrier)라고 한다.

고달픈 것으로만 여겨졌던 환승도 잘만 활용하면 원기회복과 함께 공짜 여행을 즐길 기회가 될 수 있다.

 

◇ 에티하드항공

현재 가장 핫한 스톱오버 이벤트를 진행하는 항공사는 에티하드항공으로 무려 2박의 무료 숙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인천-아부다비-파리 구간을 예약할 때, 아부다비에서 이틀 머무는 여정으로 예약하면 호텔 2박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인기가 치솟아 11월부터 내년 1월까지 호텔이 풀 부킹된 상태다.

또, 다이아몬드 퍼스트 클래스 승객과 비즈니스 클래스 승객들은 리츠칼튼이나 쥬메이라 등 5성급 이상 호텔에서 1박할 수 있는 '프리미엄 스톱오버' 이벤트도 열고 있다.

◇ 에티오피아항공

에티오피아항공으로 수도 아디스아바바에서 8시간 이상 환승하는 승객들에게는 호텔 1박 숙박이 제공된다.

비즈니스 승객부터는 5성급 호텔이 제공되며, 8시간 미만의 경우라도 아디스아바바 시티투어를 제공한다. 물론 출발·도착은 반드시 에티오피아항공을 이용할 경우여야 한다.

 

◇ 터키항공

터키항공의 경우 이코노미 승객은 12시간 이상, 비즈니스석 승객은 9시간 이상 체류하는 경우 호텔 1박을 무료로 제공한다. 낮에 호텔을 이용하는 승객에게는 음식이 제공되지 않는다. 호텔은 무작위로 제공된다.

◇ 에미레이트항공

에미레이트항공 이코노미의 경우 경유지에서 8∼24시간 체류할 때, 비즈니스는 6∼24시간의 경우 가능하다. 다만 항공운임비가 130만원 이상인 경우만 가능하다.

◇ 중국국제항공(CA)

에어차이나는 베이징과 청두 공항에서 24시간 이내에 당일 연결 불가한 승객을 대상으로 STPC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환승 시간이 4시간 이상일 경우에는 라운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중국 비자가 없는 승객들은 공항에서 임시비자 발급신청서를 작성해야 한다.

◇ 일본항공(JAL)

일본항공에서는 승객이 일본 도착 후 다음 목적지까지의 첫 번째 국제선 연결편(1st Scheduled Flight)이 당일 운항하지 않아서 다음날 비행기를 타야 하는 경우에 신청할 수 있다.

단 일본항공의 경우 호텔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 노 쇼 차지(No-Show Charge)가 발생하므로 반드시 투숙 예정 3일 전까지 일본항공 예약부로 호텔을 사전에 변경 또는 취소해야 한다. 조식은 제공되지 않는다.

◇ 에어아스타나

에어아스타나도 알마티와 아스타나 공항에서 8시간 이상 공항에 머무르는 승객들을 대상으로 무료 숙박을 제공한다. 최소 2주 전까지 요청을 해야 하지만 항공사로 메일을 보내도 답장을 잘 해주지 않는 경우가 잦아 미리 신청하는 것이 좋다.

◇ 대한항공

대한항공은 외국에서 출발해 9시간 이상 인천공항에서 경유하는 승객들을 대상으로 공항 인근의 호텔을 배정해 주고 있다. 호텔은 그랜드 하얏트 인천 또는 인천공항 내 환승호텔이 배정되는 경우가 많다.

◇ STPC 서비스 주의점

장시간 환승할 때라도 같은 목적지로 향하는 더 이른 시간의 항공편이 있을 경우, 좌석 유무와 관계없이 STPC 서비스를 받지 못할 수도 있어 항공 스케줄을 확인해야 한다. 또 출발·도착이 반드시 해당 항공사 비행기여야 한다는 점도 잊지 말자.

이밖에 중국 등에서는 무료 숙박 관련 사기도 횡행하니 주의해야 한다.

한 승객은 밤늦은 시각 난징 공항에 내려 STPC 서비스인 줄 알고 따라갔다가 사기를 당했다.

승객은 "일단 결재하면 뒤에 돌려주는 시스템"이라는 말을 듣고 결재했지만, 다음 날 아침 이를 돌려받지 못한 채 발걸음을 돌려야 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李대행 "확정된 유급·제적은 철회 없어"…학사유연화 불가 재확인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각 대학은 7일까지 유급과 제적 대상을 확정해 원칙대로 처리할 것"이라며 "확정된 유급 또는 제적은 철회되거나 취소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권한대행은 지난 5일 배포한 '2025학년도 의대 학사에 관해 학생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에서 "일부 의대 학생들 사이에서 잘못된 주장이 유포되고 있어 바로잡고자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가 각 의대에 유급·제적 처분 현황을 오는 7일까지 제출하도록 요청한 가운데 일부 의대생들 사이에선 개별 대학이 대규모로 유급 또는 제적하는 건 불가능하다거나, 유급·제적되더라도 추후 학사 유연화 조치 등을 통해 복귀할 수 있다는 주장이 돌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이 권한대행이 이를 바로잡고자 지난 2일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이어받은 후 처음으로 의대생들에게 공식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다. 이 대행은 "추가적인 학사 유연화는 없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며 "미복귀로 인한 제적 등으로 결원이 발생할 경우 정부는 각 대학이 해당 결원만큼 편입학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7일이면 2025학년도 교육 대상자가 최종 확정되며, 정부는 이제 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한 모금쯤이야?…어릴 때 술 접하면 알코올 사용장애 위험 4배↑
15세 이전에 술을 처음 마신 사람은 성인이 된 후에 음주를 시작한 사람보다 알코올 중독 등 음주 관련 문제를 겪을 확률이 4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술에 대해 관대한 주변 어른의 태도와 인식은 어린이의 음주 시기를 앞당길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어린이 앞에선 술을 마시지 말고, 어린이에게는 소량의 술도 권하지 말아야 한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과 국립암센터는 최근 이런 연구 결과를 담은 '어린이·청소년 음주 예방 가이드라인'을 발간했다. 우리나라는 어른과 함께라면 미성년자라도 술 한잔 정도는 마셔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분위기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실제로 우리나라 중·고등학생 3명 중 1명은 부모나 친척 등 주변 어른으로부터 술을 권유받은 적이 있었다. '한 잔쯤은 괜찮다'라며 가볍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어린 나이에 술을 조금이라도 마셔본 아이는 조기에 음주에 빠지거나 성인이 되기 전부터 만취할 정도로 술을 마실 위험이 크다.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보면 작년 기준 우리나라 중·고등학생 3명 중 1명은 술을 마셔본 적이 있었고, 최근 한 달 이내 술을 마신 학생 4명 중 1명은 초등학교 또는 그 이전에 처음 술을 접했다고 답했다. 이런 습관은 성인이 된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