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1일) 주요공시]

 

▲ W홀딩컴퍼니[052300] "아이오케이[078860] 주식 110억원에 추가취득"

▲ 동원F&B[049770] 3분기 영업익 355억…7.4%↓

▲ 동원시스템즈[014820] 3분기 영업익 161억…13%↓

▲ 에이비프로바이오[195990] "종속회사 Abpro 주식 179억원에 추가취득"

▲ 효성ITX[094280], 3분기 영업익 31억원…3% 증가

▲ 쌍용양회[003410]공업 3분기 영업익 530억…13.6%↓

▲ 효성화학[298000], 3분기 영업익 551억원…51.7% 증가

▲ CJ CGV[079160] "홍콩 종속회사 CGI홀딩스·IKT홀딩스 합병"

▲ 금호석유[011780], 3분기 영업익 687억원…54.5% 감소

▲ 롯데케미칼[011170] 3분기 영업익 3천146억…37.5%↓

▲ 에이비프로바이오[195990] 종속회사, Abpro 주식 650억원에 취득

▲ 기아차[000270], 10월 판매량 24만8천752대…0.8% 감소

▲ 현대차[005380], 10월 판매량 39만9천906대…2.5% 감소

▲ 르노삼성차 10월 완성차 판매 1만4천826대…20.4%↓

▲ 모두투어[080160], 3분기 영업손실 22억원…적자전환

▲ 에스엠비나, 코넥스→코스닥 이전상장 결정

▲ 쌍용차[003620], 10월 완성차 1만135대 판매…24% 감소

▲ 한국GM, 10월 완성차 3만158대 판매…작년보다 25.5%↓

▲ 포스코엠텍[009520], 포항·광양제철소 제품포장작업 계약

▲ 이노션[214320], 3분기 영업익 285억원…6.4% 감소

▲ KB자산운용, 도이치모터스[067990] 지분율 5.02%→6.04%

▲ KB자산운용, HDC[012630] 지분율 6.06%→7.08%

▲ KB자산운용, 에스엠[041510] 지분율 7.59%→8.38%

▲ 종근당[185750], 3분기 영업익 203억원…3.7% 감소

▲ HDC현대EP[089470], 3분기 영업익 95억원…194% 증가

▲ 삼화왕관[004450], 신우 주식 738억원어치 취득…지분율 100%

▲ 포스코[005490], 주당 2천원 분기배당 결정

▲ 종근당바이오[063160], 3분기 영업익 45억원…63.6% 증가

▲ LG유플러스[032640], 3분기 영업익 1천559억…31.7% 감소

▲ SKC[011790] 3분기 영업익 405억…작년 동기 대비 25%↓

▲ 오리온[271560], 3분기 영업익 1천18억원…29% 증가

▲ 한진중공업[097230], 인천공항 제2터미널 확장공사 계약

▲ 비에이치[090460] 3분기 영업익 405억원…0.02% 증가

▲ 스카이라이프[053210], 3분기 영업익 126억원…21% 증가

▲ 비티원[101140] "비덴트 주식 550억원어치 취득…지분율 18%"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알츠하이머 유발 단백질 실시간 관찰 전자현미경 기술 개발
퇴행성 질환을 유발하는 아밀로이드 섬유 단백질의 초기 불안정한 움직임과 같은 생명 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실시간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알츠하이머나 파킨슨병 같은 퇴행성 질환 발병 과정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육종민 교수 연구팀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연구팀과 함께 그래핀을 이용해 알츠하이머 질병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아밀로이드 섬유 단백질의 실시간 거동을 관찰할 수 있는 새로운 단분자 관찰 기술(single-molecule technique)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단분자 관찰 기술은 단일 분자 수준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 기법이다. 생체 과정에 수반되는 단백질 간 상호작용, 접힘, 조립 과정 등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기술이다. 현재까지는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거나, 단백질을 급속 냉동, 움직임을 고정해 분자 구조를 해석하는 초저온 전자현미경 기법이 활용됐다. 자연 그대로의 단백질을 특별한 전처리 없이 분자 단위에서 실시간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은 없었다. 연구팀은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는 그래핀을 이용해 숙제였던 두꺼운 투과 막에 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