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에 올가을 첫 상고대·얼음

 무등산국립공원에 올가을 들어 처음으로 상고대가 피어나고 얼음이 맺혔다.

 14일 무등산국립공원사무소에 따르면 이날 새벽 누에봉에서 공군부대가 주둔하는 정상부까지 해발 1천m대 고지대에서 상고대가 관측됐다.

 상고대는 나무나 풀에 눈처럼 내려앉은 서리다.

 잎이 떨어져 나간 나뭇가지와 황금빛으로 무르익은 억새마다 상고대가 내려앉으면서 절경을 연출했다.

 해발 850m 얼음 바위에는 고드름이 맺혔다.

 무등산의 올가을 첫얼음은 지난해보다 이틀 빠르다.

 광주지방기상청은 이날 아침 최저기온이 지리산 성삼재 -5도, 무등산 -4.3도, 곡성 2.7도, 영광 3.2도, 진도 3.3도, 순천 3.4, 장성 3.5도, 광주 4.2까지 내려갔다고 밝혔다.

  무등산국립공원사무소는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이달 15일부터 내달 15일까지 산불 예방을 위해 탐방로 일부 구간을 통제한다.

소태제∼마집봉갈림길, 풍암주차장∼광일목장,선주암갈림길∼서인봉갈림길, 도원야영장∼마당바위,서석대∼천왕봉∼누에봉, 광일목장∼신선대갈림길 등 6개 구간에서 등산객 통행을 제한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