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리아 감염 염증 신호, 강력한 항체 형성 이끈다"

호주 월터&엘리자 홀 의학 연구소, '셀 리포츠'에 논문

 병원체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을 연구하는 과학자에게 말라리아 원충(plasmodium)은 까다롭고도 흥미로운 존재다.

 다른 감염병은 한 번만 걸려도 평생 면역이 생기지만 말라리아는 그렇지 않다. 말라리아에 면역력을 가지려면 보균자로든 환자로든 수십 년간 계속해서 말라리아 감염에 노출돼야 한다.

 그런데 말라리아 감염으로 생기는 강한 염증 신호(inflammatory signal)가 강력한 항체 형성을 유발한다는 동물 실험 결과가 나왔다.

 이런 염증 신호는 인간의 말라리아 감염이나 만성 바이러스 감염, 자가면역 질환 등에서도 관찰된다. 따라서 이 발견은 C형 간염, HIV(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루푸스병 등 난치성 감염 질환의 백신이나 치료제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를 수행한 호주 멜버른 소재 '월터 & 엘리자 홀 의학 연구소'의 다이애나 한센 박사팀은 19일(현지시간) 관련 논문을 저널 '셀 리포츠(Cell Reports)'에 발표했다. 같은 날 이 연구소는 논문 개요를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했다.

 한센 박사팀은 지난 10년간 말라리아 감염과 숙주의 면역 시스템 연구에 매진했다.

과거엔 말라리아 원충의 면역 회피 능력을, 말라리아 퇴치를 어렵게 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봤다. 그러나 한센 박사는 항체 형성 과정을 주목했다.

 이 연구진은 2016년 염증 신호가 '도움 T세포(helper T cell)의 발달을 막는 염증 분자를 자극해, B세포가 항체 형성에 필요한 지시를 받지 못하게 한다는 요지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T세포의 일종인 도움 T세포는 사이토카인(신호물질로 쓰이는 당단백질)을 분비해 다른 면역세포의 기능 조절이나 억제를 돕는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선 염증 신호가 항체의 방어력을 크게 향상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염증 신호를 받은 B세포는, 정예 요원 트레이닝 캠프에서 '극기 훈련'을 받는 것과 비슷한 과정을 거쳐 '프로 포식자(professional predators)'로 양성됐다.

 면역체계가 말라리아 감염에 맞서 이렇게 강력한 항체를 생성한다는 게 밝혀진 건 처음이다.

 연구팀은 또한 면역 시스템에 항체 형성 신호를 보내는 '분자 스위치(molecular switch)'와 여기에 작용하는 염증 신호도 발견했다.

 하지만 자기 항원을 바탕으로 항체를 만드는 B세포는 파괴력이 엄청나 종종 자가면역 질환을 일으킨다고 한다.

 한센 박사는 "염증 신호는 항체 반응의 규모를 제한하는 동시에 항체 반응의 질을 개선한다"라면서 "B세포는 정예 요원 같은 능력을 갖췄지만, 미래의 감염에 대해선 그 정도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만성 바이러스 감염과 자가면역 질환 환자에 새로운 치료 기회를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연구 결과"라면서 "만성 감염 질환에 맞설 땐 분자 스위치를 올려 정예 B세포의 생성을 돕고, 루푸스 같은 자가면역 질환이 걱정될 땐 스위치를 내려 B세포 생성을 중단하는, 그런 백신이나 치료법을 개발했으면 좋겠다"라고 덧붙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학연·경희의료원, 과민대장증후군 진단키트 개발
한국한의학연구원은 박기선 박사 연구팀은 최근 경희의료원 김진성·하나연 교수팀과 공동으로 과민대장증후군 진단키트 시제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과민대장증후군(IBS)은 만성적이고 반복적인 복통, 설사 또는 변비가 나타나는 난치성 위장장애로, 방치할 경우 만성 장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적기 치료가 중요하다. 하지만 아직 과민대장증후군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질병의 진행 정도를 진단하는 생물학적 지표)가 개발되지 않아 환자의 병력에 의존하거나 증상을 바탕으로 진단할 수밖에 없었다. 연구팀은 혈액 속 엑소좀을 바이오마커로 활용해 진단키트 시작품을 제작했다. 엑소좀은 체내 세포가 정보 교환을 위해 분비하는 ㎚(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세포외소포로, 환자의 병리적 상태를 판단하는 지표가 된다. 정상군과 과민대장증후군 환자 각각 30명씩 혈중 엑소좀을 분리한 뒤 마이크로RNA(생물 유전자 발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RNA, 즉 리보핵산의 일종)를 분석, 14종의 마이크로RNA 가운데 만성 장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6종을 바이오마커로 개발했다. 시제품 키트를 활용해 예후를 판단할 수 있고, 증상의 중증 정도를 정량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고 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비만치료제 오젬픽류, 소규모 임상서 알츠하이머 완화 효과"
비만치료제로 사용되는 오젬픽류의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GLP-1) 약물이 200명 규모의 작은 임상실험에서 치매로 알려진 알츠하이머병을 완화하는 효과를 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 CNN과 NBC 방송 등에 따르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알츠하이머협회 국제콘퍼런스에서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신경과학 교수인 폴 에디슨 박사는 이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에디슨 박사팀의 임상실험은 주로 경증 알츠하이머 환자로 구성된 20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들 중 GLP-1 작용제의 일종인 리라글루타이드를 투여받은 환자들은 위약을 투여받은 집단과 비교해 1년 후 인지기능 저하가 18%가량 느려진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이 약물은 기억력과 학습,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뇌 부위의 수축을 거의 50%가량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뇌의 수축은 치매·알츠하이머 환자의 심각한 인지기능 저하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실험에는 연구를 시작할 당시 시판된 노보 노디스크의 당뇨병 치료제 빅토자(이하 브랜드명)와 비만치료제 삭센다가 이용됐으며, 매일 주사로 투여됐다. 이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알츠하이머협회의 최고 과학 책임자 마리아 카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