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증시일정](1일)

[오늘의 증시일정](1일)
    ◇ 추가 및 변경상장
    ▲ 주식회사 레이[228670](주식전환 1만1천866주 1만6천854원)
    ▲ (주)디모아[016670](유상증자 137만2천212주 5천830원)
    ▲ 휴림로봇(주)[090710](유상증자 3천500만주 0원)
    ▲ (주)에코앤드림[101360](유상증자 340만4천256주 0원, 유상증자 340만4천256주 0원, 유상증자 340만4천256주 3만1천450원)
    ▲ (주)디딤이앤에프[217620](유상증자 1천192만8천주 503원)
    ▲ (주)젠큐릭스[229000](유상증자 80만주 2천500원)
    ▲ (주)커넥트웨이브[119860](주식소각)
    ▲ 에이치엘비글로벌(주)[003580](CB전환 2만4천166주 6천207원)
    ▲ 케이지모빌리티(주)[003620](CB전환 39만6천825주 5천40원)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31일) 주요공시]
    ▲ 임태중 상상인증권[001290] 대표, 임기 8개월 남기고 사임
    ▲ 일동제약[249420], 2분기 영업익 49억원…주력 제품 호조에 흑자전환
    ▲ 보령 2분기 영업익 201억원…고혈압약 '카나브' 고성장
    ▲ 애경산업[018250], 2분기 영업이익 5.4% 증가…"화장품 호조"
    ▲ 인트로메딕[150840], 10억원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 파트론[091700] 2분기 영업이익 143억원…작년 동기 대비 69.9%↑
    ▲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 2분기 영업손실 199억원…적자 축소
    ▲ 아이센스[099190] 2분기 영업이익 20억원…작년 동기 대비 48.7%↓
    ▲ SK아이이테크놀로지[361610] 2분기 영업손실 587억원…적자 전환
    ▲ 삼성물산[028260] 2분기 영업이익 9천4억원…작년 동기 대비 16.6%↑
    ▲ 'IT 불황' 버틴 전자부품업계, 고부가 제품 업고 실적 순항
    ▲ BNK금융지주[138930] 2분기 영업이익 2천943억원…작년 동기 대비 5.5%↑
    ▲ 부산은행 2분기 영업이익 1천457억원…작년 동기 대비 3.9%↓
    ▲ 경남은행 2분기 영업이익 1천240억원…작년 동기 대비 31.2%↑
    ▲ BNK투자증권 2분기 영업손실 94억원…적자 확대
    ▲ 삼성전기[009150] 2분기 영업이익 2천81억원…작년 동기 대비 1.5%↑
    ▲ HK이노엔[195940], 2분기 영업익 243억원…작년 동기 대비 59%↑
    ▲ 투자 미루고 캐파 축소…배터리소재업계, 실적 한파에 속도 조절
    ▲ 제일기획[030000] 2분기 영업이익 882억원…작년 동기 대비 4.2%↑
    ▲ 삼성전자 "HBM 매출 50% 증가…HBM3E 8단 제품 3분기 본격 공급"
    ▲ 삼성전자[005930] 보통주·우선주 361원 분기배당…총 2조4천500억 규모
    ▲ 삼성 모바일 2분기 실적, 신제품 효과 둔화에 1분기보다 감소
    ▲ 에이피알[278470], 주식분할 결정…주당가격 500원→100원으로
    ▲ 삼성전자[005930] 실적 '일등공신' 복귀한 반도체…"HBM3E 공급 관건"
    ▲ SOOP[067160] 2분기 영업이익 333억원…작년 동기 대비 41%↑
    ▲ 삼성전자[005930] 2분기 영업익 10.4조…반도체 영업익 6.4조
    ▲ LS증권[078020] "대우건설[047040], 2분기 부진…해외 수주 성과 확인 필요"
    ▲ 키움증권[039490] 2분기 영업이익 3천123억원…작년 동기 대비 72.7%↑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만성 스트레스가 우울증 일으킨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기억및교세포 연구단 이창준 단장, 이보영 연구위원 연구팀이 만성 스트레스가 뇌 전전두엽에서 단백질의 당사슬(당쇄) 형태를 바꿔 우울증을 일으키는 뇌 분자 기전을 규명했다고 최근 밝혔다. 우울증은 단순한 우울감을 넘어서 무기력, 수면 장애 등 증상을 동반한다. 심리적·환경적·유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발병 기전이 보고되고 있으나, 실제 치료는 신경전달물질 조절에 집중돼 있다. 세로토닌 기반 항우울제가 널리 쓰이지만, 효과를 보는 환자가 절반에 못 미치며 위장 장애나 불안 악화 등 부작용을 일으킨다. 신경전달물질 중심의 접근을 넘어 뇌 속 새로운 분자 기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단백질의 당쇄화 과정에 주목됐다. 당쇄화는 단백질에 작은 당 사슬이 붙어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바꾸는 과정으로, 암·바이러스 감염·퇴행성 질환 등 다양한 질환에서 중요한 분자 기전으로 주목받고 있다. 당쇄화 형태에 따라 N-결합형, O-결합형 등이 있는데 최근 우울증 환자의 생체시료 분석에서 다른 뇌 질환에 비해 O-당쇄화 합성 유전자가 뚜렷한 변화를 보인다는 결과가 보고됐다. 연구팀이 뇌 조직 샘플별로 분석한 결과 세부 영역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