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계, 한약 건강보험 적용 촉구…"의료비 부담 감소"

국회서 '한의약 발전' 정책토론회…"진료 선택권 보장"

 한의계가 첩약(한약)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한한의사협회는 2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한의약 발전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주관하고 첩약 급여화를 통한 국민건강 보장성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발제를 맡은 이은경 한의학정책연구원장은 한국한의약진흥원이 시행한 '2017년 한의의료이용 및 한약소비 실태조사'를 발표했다.

 실태조사에 따르면 한의의료 이용자의 93.1%가 한약의 효과를 인정하고 80.1%는 향후 한약 복용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또 한의의료에 대한 건강보험급여 확대 시 우선 적용이 필요한 치료법 1순위로 '첩약'을 꼽았다.

 이 원장은 "첩약에 대한 신뢰도와 만족도가 높지만, 국민 대다수가 가격에 대한 부담으로 복용하지 못하고 있다"며 "국민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를 위해 첩약 급여화가 최우선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향후 첩약 건강보험 급여화를 단계별로 확대해야 한다"며 "첩약 급여화 등으로 국민의 의료비 부담은 크게 줄고, 환자의 치료 선택권은 확대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연내 공공의대 설립 근거 마련…설립까지 이르면 3년"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새 정부 보건의료정책의 핵심으로 '지·필·공(지역·필수·공공의료)'을 내세우고 의료 인력 양성을 위해 올해 안에 공공의료사관학교(공공의대) 설립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 22일 서울 영등포구 FKI타워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의료서비스의 지역 격차 해소, 필수의료 확충, 공공의료 강화에 힘쓰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정 장관은 "공공의료사관학교는 전국 단위의 공공의료기관이나 공공 분야에서 필요한 의사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공공의대 개념"이라며 "법을 새롭게 제정하고 준비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구체적인 설립 시기를 언급하기는 어려우나, 올해 안에 법안 근거를 만드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내년도 예산에 공공의대 설계가 반영돼 있다"면서 "대학을 설립하고 준비하는 과정이 몇 년이 될지 말하기는 어렵지만 3∼5년 정도이고, 정책 실행 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의대 졸업 후 지역에서 일정 기간 의무 복무케 하는 지역의사제 도입에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의료계가 지적하는 지역의사제의 위헌 소지나 실효성 논란에 대해서는 반박했다. 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