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 한방울로 13가지 암 검사"…2시간내 99% 정확도

日도시바, 진단키트 개발...20만원 이하 저렴한 비용으로 진단

 

 피 한방울로 13가지 종류의 암을 찾아내는 진단 키트가 개발됐다. 도시바(東芝)는 피 한방울로 13가지 암에 걸렸는지 여부를 2시간 이내에 99% 정확하게 판정하는 진단 키트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과 NHK 등 일본 언론이 25일 보도했다.

 내년부터 암환자를 대상으로 실증실험을 시작해 2021~2022년 인간도크 혈액검사 등에서 실용화한다는 목표다. 2만 엔(약 21만 원) 이하의 저렴한 비용으로 진단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도시바가 도쿄(東京)의과대학, 국립암연구센터 등과 공동으로 개발한 이 진단키트는 암이 생기면 혈액속에 증가하는 '마이크로 RNA'라는 물질을 검출해 암 여부를 판정한다.

 과거에 채취한 암환자의 혈액을 이용해 진단 키트의 정확도를 검증하는 실험에서 대장암과 폐암, 췌장암 등 13가지 암에 걸렸는지 여부를 99% 정확하게 판정했다고 한다. 크기가 1㎝ 미만의 초기암은 물론 0기로 불리는 초 조기단계의 암도 찾아낸 것으로 알려졌다. 검사키트로 암판정이 나오면 의료기관에서 어느 장기에 암이 생겼는지 영상진단 등을 통해 확인한다.

  이런 종류의 기술은 도레이 등도 개발했지만 도레이 검사는 특정 암을 조사하는 키트로 여러 종류의 암을 검사하려면 수만 엔의 비용이 들 것으로 보인다.

 도시바가 개발한 진단키트는 13가지 암에 걸렸는지 여부를 한번에 알 수 있고 채혈한 지 2시간 이내에 결과를 알 수 있어 도레이 등 타사 제품의 몇분의 1 정도의 짧은 시간에 판정하는게 특징이다. 반도체 등의 기술을 활용해 전기적인 방법으로 마이크로RNA를 검출한다.

 도시바는 정부의 승인을 취득, 의료보험 등 공적보험이 적용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나아가 13가지 암 중 어느 암에 걸렸는지 특정하는 기술개발도 추진키로 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학연·경희의료원, 과민대장증후군 진단키트 개발
한국한의학연구원은 박기선 박사 연구팀은 최근 경희의료원 김진성·하나연 교수팀과 공동으로 과민대장증후군 진단키트 시제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과민대장증후군(IBS)은 만성적이고 반복적인 복통, 설사 또는 변비가 나타나는 난치성 위장장애로, 방치할 경우 만성 장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적기 치료가 중요하다. 하지만 아직 과민대장증후군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질병의 진행 정도를 진단하는 생물학적 지표)가 개발되지 않아 환자의 병력에 의존하거나 증상을 바탕으로 진단할 수밖에 없었다. 연구팀은 혈액 속 엑소좀을 바이오마커로 활용해 진단키트 시작품을 제작했다. 엑소좀은 체내 세포가 정보 교환을 위해 분비하는 ㎚(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세포외소포로, 환자의 병리적 상태를 판단하는 지표가 된다. 정상군과 과민대장증후군 환자 각각 30명씩 혈중 엑소좀을 분리한 뒤 마이크로RNA(생물 유전자 발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RNA, 즉 리보핵산의 일종)를 분석, 14종의 마이크로RNA 가운데 만성 장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6종을 바이오마커로 개발했다. 시제품 키트를 활용해 예후를 판단할 수 있고, 증상의 중증 정도를 정량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고 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비만치료제 오젬픽류, 소규모 임상서 알츠하이머 완화 효과"
비만치료제로 사용되는 오젬픽류의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GLP-1) 약물이 200명 규모의 작은 임상실험에서 치매로 알려진 알츠하이머병을 완화하는 효과를 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 CNN과 NBC 방송 등에 따르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알츠하이머협회 국제콘퍼런스에서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신경과학 교수인 폴 에디슨 박사는 이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에디슨 박사팀의 임상실험은 주로 경증 알츠하이머 환자로 구성된 20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들 중 GLP-1 작용제의 일종인 리라글루타이드를 투여받은 환자들은 위약을 투여받은 집단과 비교해 1년 후 인지기능 저하가 18%가량 느려진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이 약물은 기억력과 학습,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뇌 부위의 수축을 거의 50%가량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뇌의 수축은 치매·알츠하이머 환자의 심각한 인지기능 저하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실험에는 연구를 시작할 당시 시판된 노보 노디스크의 당뇨병 치료제 빅토자(이하 브랜드명)와 비만치료제 삭센다가 이용됐으며, 매일 주사로 투여됐다. 이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알츠하이머협회의 최고 과학 책임자 마리아 카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