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 억제 '라파마이신', 피부 노화도 억제"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주목을 받고 있는 면역억제제 라파마이신(rapamycin)이 피부 노화도 억제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드렉셀(Drexel) 대학 의대 크리스천 셀 분자생물학 교수 연구팀은 라파마이신이 피부 세포의 노화의 핵심 표지인 p16 단백질을 감소시킨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26일 보도했다.

 40세 이상 남녀 1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팀은 이들에게 라파마이신 크림을 매일 또는 이틀에 한 번씩 한 손에, 가짜 크림을 다른 손에 8개월 동안 바르게 했다.

 이와 함께 두 달마다 혈액검사를, 8개월 후에는 피부 조직검사를 받도록 했다.

 8개월 후 라파마이신 크림을 바른 손의 피부는 콜라겐이 증가하고 p16 단백질이 크게 줄어들었다.

 이 단백질이 적은 피부는 피부 주름과 관련이 있는 노화 세포(senescent cell)의 수가 적으며 이 단백질이 많으면 노인들에게 나타나는 피부 위축(skin atrophy)으로 이어진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라파마이신 크림을 바른 손은 또 주름과 피부 늘어짐(sagging)이 줄어들었다.

 2016년 8월 미국 워싱턴대학 연구팀은 라파마이신이 생쥐의 수명을 60% 연장시켰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일이 있다.

 아주 최근에는 미국 텍사스대학 보건과학센터의 베로니카 갤번 세포 생리학 교수 연구팀이 라파마이신이 뇌혈관 노화를 억제한다는 쥐 실험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라파마이신은 1970년대 남태평양 라파누이(Rapa Nui)섬 토양에 서식하는 박테리아에서 처음 분리된 물질로 처음에는 항진균제로 쓰였다.

 그 후 이 물질이 염증만이 아니라 면역체계도 억제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지금은 장기이식환자의 거부반응 차단제로 사용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학연·경희의료원, 과민대장증후군 진단키트 개발
한국한의학연구원은 박기선 박사 연구팀은 최근 경희의료원 김진성·하나연 교수팀과 공동으로 과민대장증후군 진단키트 시제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과민대장증후군(IBS)은 만성적이고 반복적인 복통, 설사 또는 변비가 나타나는 난치성 위장장애로, 방치할 경우 만성 장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적기 치료가 중요하다. 하지만 아직 과민대장증후군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질병의 진행 정도를 진단하는 생물학적 지표)가 개발되지 않아 환자의 병력에 의존하거나 증상을 바탕으로 진단할 수밖에 없었다. 연구팀은 혈액 속 엑소좀을 바이오마커로 활용해 진단키트 시작품을 제작했다. 엑소좀은 체내 세포가 정보 교환을 위해 분비하는 ㎚(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세포외소포로, 환자의 병리적 상태를 판단하는 지표가 된다. 정상군과 과민대장증후군 환자 각각 30명씩 혈중 엑소좀을 분리한 뒤 마이크로RNA(생물 유전자 발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RNA, 즉 리보핵산의 일종)를 분석, 14종의 마이크로RNA 가운데 만성 장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6종을 바이오마커로 개발했다. 시제품 키트를 활용해 예후를 판단할 수 있고, 증상의 중증 정도를 정량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고 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비만치료제 오젬픽류, 소규모 임상서 알츠하이머 완화 효과"
비만치료제로 사용되는 오젬픽류의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GLP-1) 약물이 200명 규모의 작은 임상실험에서 치매로 알려진 알츠하이머병을 완화하는 효과를 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 CNN과 NBC 방송 등에 따르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알츠하이머협회 국제콘퍼런스에서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신경과학 교수인 폴 에디슨 박사는 이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에디슨 박사팀의 임상실험은 주로 경증 알츠하이머 환자로 구성된 20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들 중 GLP-1 작용제의 일종인 리라글루타이드를 투여받은 환자들은 위약을 투여받은 집단과 비교해 1년 후 인지기능 저하가 18%가량 느려진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이 약물은 기억력과 학습,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뇌 부위의 수축을 거의 50%가량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뇌의 수축은 치매·알츠하이머 환자의 심각한 인지기능 저하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실험에는 연구를 시작할 당시 시판된 노보 노디스크의 당뇨병 치료제 빅토자(이하 브랜드명)와 비만치료제 삭센다가 이용됐으며, 매일 주사로 투여됐다. 이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알츠하이머협회의 최고 과학 책임자 마리아 카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