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腸)에 식이지방 많으면 대장암 발병↑"..동물실험 결과

미 러트거스대 연구진, 저널 '위장병학' 논문

  인간의 세포는 피부뿐 아니라 장(腸)에서도 매일 수백만 개씩 죽는다.

 그래서 장의 줄기세포는 장 내벽의 상피 세포를 끊임없이 새것으로 바꿔야 한다. 생쥐의 경우 장 내벽 세포가 3~5일을 주기로 완전히 새로 교체된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줄기세포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대장암(직장암 또는 결정암)이 생길 수 있다. 지방산은 장 줄기세포의 세포 재생에 매우 중요한 성분이다.

 그런데 장에 식이 지방(dietary fat)이 너무 많으면 줄기세포 수가 증가해, 대장암 발병 위험이 커진다는 동물 실험 결과가 나왔다.

 미국암협회(American Cancer Society) 통계를 보면, 대장암은 미국에서 남녀 모두 세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다. 올해 들어서만 10만 2천420명의 미국인이 대장암으로 사망했다.

 미국 러트거스대 예술과학대의 마이클 베르치 유전학과 부교수팀은 이런 내용의 논문을 저널 '위장병학(Gastroenterology)'에 제출했다. 논문의 수석저자인 그는 이 대학 지질(lipid) 연구 센터의 일원이기도 하다.

 이 대학이 25일(현지시간)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서로 협응해 장 내벽의 정상 기능을 촉진하는 HNF4A와 HNF4G 두 유전자를 이번에 발견했다.

 생쥐 실험 결과, 이들 두 유전자가 비활성 상태면 장의 줄기세포 수가 감소했다. 이들 유전자는 줄기세포가 지방을 태워 에너지를 공급하게 돕는다고 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서양식(Western)' 고지방 먹이를 공급한 생쥐는, 장의 줄기세포 수가 증가할 수도 있다는 걸 연구팀은 확인했다. 이는 고지방식이 암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걸 시사한다.

 연구팀은 "고지방식을 섭취하는 동안 장의 줄기세포 수와 암 발생 위험이 달라지는 데 이들 두 유전자가 직접 작용하는지 더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성남시의료원 위탁추진 제동 걸리나…새정부 공공의료 정책 주목
공공의료 강화를 공약한 이재명 대통령 시대가 열리면서 경기 성남시가 의욕적으로 추진해온 시의료원 대학병원 위탁운영 계획의 향배에 관심이 쏠린다. 새 정부를 출범한 이 대통령이 대선기간 공약을 통해 공공의료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보건복지 정책에 변화를 예고한 터라 공공병원을 민간에 위탁운영하겠다는 성남시의 구상은 동력을 얻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대통령은 대선 공약집에서 국민과 함께하는 진짜 의료개혁을 추진하겠다며 "어디서든 제대로 치료받도록 지역·필수·공공의료를 살려내겠다"고 약속했다. 이런 가운데 시민단체가 '공공의료 파괴, 의료 시장화'를 주장하며 반대하는 성남시의료원 위탁운영 추진이 힘을 받을 수 있을지 미지수다. 성남시의료원과 이 대통령은 남다른 인연 또한 성남시로서는 신경 쓰이는 대목이다. 인권 변호사로 활동하던 이 대통령이 2000년대 초반 성남시립병원 설립 운동을 하다가 이를 계기로 정치에 입문했고, 성남시장에 당선된 뒤 시립병원 건립에 나서 공사를 추진했다는 건 알려진 사실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 4월 27일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수락연설에서 "2004년 3월 28일 오후 5시, 성남시청 앞 주민교회 지하 기도실에서 눈물을 흘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