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최초 조선대 간호학과 6일 50주년 기념행사

 호남 최초로 전문직 간호사를 양성해온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가 개설 반세기를 맞는다.

 4일 조선대에 따르면 6일 오후 3시 서석홀 4층 대호전기홀에서 간호학과 50주년 기념행사가 열린다.

 조선대 간호학과는 1969년 12월 27일 정원 30명으로 신설했다.

 4년제 정규대학 과정으로 전국에서 여섯번째며 호남지역에서는 처음이다.

 1973년 대학원 석사과정을, 1999년 야간 편입학 특별과정을, 2004년 대학원 박사과정을 개설해 지금은 정원 80명으로 운영 중이다.

 50년간 학부 졸업생 3천117명, 대학원생 250여명을 배출했다.

 조선대 간호학과는 각종 평가에서 우수한 역량을 인정받으며 다양한 국책사업을 수행하고 국내 연구 발전에 기여했다.

 50주년 기념행사에서는 간호학과 위상을 높이고 후배에게 귀감이 된 동문이 특별 강연을 펼친다.

이혜옥 미국 매사추세츠대학교 보스턴캠퍼스 교수, 황영자 광주 남구 주월 노인의 집 원장, 명지원  광주트라우마센터장, 손정실 곡성군 홍복보건진료소장, 안지영 서울아산병원 차장 등이 연단에 선다.

 민영돈 총장, 전제열 의과대학장, 서현주 간호학과장, 류화라 동창회장의 축사가 이어진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스트레스 많으면 냉장고 사용↑"…사물인터넷으로 측정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산학부 이의진 교수 연구팀이 가정 내 사물인터넷(IoT) 센서가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해 개인의 정신건강 상태를 정밀 추적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2일 밝혔다. 최근 국내 1인 가구가 800만세대를 넘어서며 1인 가구의 고립감과 정신 건강 관리 문제가 사회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기존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기반 정신건강 관리 방식은 사용자가 기기를 착용하지 않으면 데이터가 누락되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별도의 조작 없이도 일상 활동을 지속해 측정하는 가정 내 IoT 센서에 주목했다. IoT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가전제품 등 생활 속 사물 사이의 정보를 센서와 통신기기로 서로 연결해 제어·관리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청년층 1인 가구 20세대를 대상으로 가전제품과 수면매트, 움직임 센서 등을 설치해 IoT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4주간 실증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스마트폰·웨어러블 데이터와 비교 분석한 결과, IoT 데이터를 함께 활용할 때 정신건강의 변화를 더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관찰 결과 수면 시간 감소는 우울·불안·스트레스 수준 증가와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 온도 상승도 불안·우울과 상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