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관절수술, 부위마취가 전신마취보다 '사망률·부작용' 낮아"

서울백병원, 고관절 수술환자 분석…"환자 특성 따라 마취법 선택"

 고관절 수술을 할 때 전신마취보다 부위마취를 했을 때 사망률과 부작용이 더 낮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백병원 마취통증의학과 방시라·안은진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활용해 2009∼2015년 고관절 골절로 수술받은 65세 이상 환자 9만6천289명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은 대상자 가운데 나이, 성별 등 유사한 조건을 가진 전신마취 수술환자 2만5천593명과 부위마취 수술 환자 2만5천593명을 선별해 사망률, 중환자실 입원율 등을 비교했다.

 부위마취는 수술 부위를 포함하는 부분에 국소적으로 마취를 하는 방법으로 고관절 수술을 할 때는 주로 하반신 마취를 한다.

 분석 결과 부위마취 환자 사망률은 2.24%로 전신마취 그룹보다 사망률(2.55%)보다 낮았다.

 수술 후 중환자실 입원율은 부위마취 그룹이 22.8%로 전신마취 그룹(31.4%)보다 8.6%포인트 낮았다. 인공호흡기 착용률도 부위마취 환자에서 1.7%로 전신마취 환자그룹(4.7%)보다 3%포인트 낮았다.

 부작용이나 합병증 발생도 부위마취를 받은 환자군에서 더 적었다.

 노인 수술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부작용인 섬망 발생률은 부위마취 그룹이 20.2%로 전신마취를 받은 환자(22.7%)보다 낮았다. 뇌출혈과 폐색전증도 부위마취를 받은 환자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안은진 교수는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마취 방법의 특성이 달라 사망률과 부작용 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혈액 저류, 혈액 응고 장애, 심장 판막 질환, 뇌 질환 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하반신 마취가 전신마취보다 위험할 수 있다"며 "환자에 따라 적절한 마취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의학저널(BMJ)이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BMJ Open' 최근호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건강보험 지불체계 손본다…"행위별 수가제도 대안 모색"
대통령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산하 필수의료·공정보상 전문위원회가 지난 17일 5차 회의를 열고 건강보험 가격구조 개편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보건복지부가 밝혔다. 전문위는 "행위별 수가제도가 환산지수 역전현상, 상대가치제도의 상시 조정 어려움 등으로 인해 보상구조의 왜곡을 심화시킨다는 문제점이 제기됐다"며 "지불제도의 불합리성과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대안들을 논의하고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건강보험 지불체계의 근간인 행위별 수가제도는 모든 개별 의료행위마다 단가를 정해 지불하는 방식이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행위별 수가가 전체 건강보험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다. 의료기관이 받는 수가는 개별 행위별로 정해지는 '상대가치점수'에 '환산지수'를 곱해 결정되는데, 의원의 인상률이 커서 병원보다 높은 역전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정부는 필수의료처럼 저평가된 의료행위에 대해 환산지수를 더 올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지만, 의료계의 반대에 부딪혀 있다. 특위는 이와 함께 보완형 공공정책수가 도입, 대안적 지불제도 확대 등 행위별 수가체계를 보완해 바람직한 수가구조를 만들 수 있도록 대안을 구체화해나갈 계획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통풍 유발하는 '고요산혈증' 유전요인 351개 발견"
질병관리청은 고요산혈증 발병 위험을 높이는 351개의 유전 요인을 찾아내 고위험군 선별이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고요산혈증이란 단백질의 일종인 '퓨린'을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체내에 요산이 쌓여 발생하는 질환으로,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통풍과 고혈압, 심혈관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병청 국립보건연구원과 성균관대 삼성융합의과학원 원홍희 교수 연구팀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과 영국·일본 바이오뱅크 등에 등록된 유럽인·한국인·일본인 102만9천323명의 유전체 정보를 분석했다. 그 결과 고요산혈증에 영향을 미치는 351개의 유전 요인을 찾아냈으며, 이 중 단백질 상호작용과 관련된 'KLHDC7A' 등 17개의 유전자는 기존 연구에서 보고되지 않은 요인이었다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이러한 유전적 요인의 위험도를 분석했을 때, 위험 요인을 보유한 상위 10% '고요산혈증 고위험군'은 하위 10%의 저위험군과 비교해 통풍 발병 위험도는 7배, 고혈압 발병 위험도는 1.5배 높았다. 질병청은 "유전적 요인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생활 습관을 개선하더라도 일반인에 비해서 높은 요산 수치를 보이기 때문에 고요산혈증 발병에 주의해야 한다"며 "유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