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국종, 내달 출근 즉시 사임…돌아올 수 없는 강 건너"

외상센터 과장 "욕설 파문 촉발, 누적된 갈등 예상된 수순"

  아주대병원 측과 갈등 끝에 경기남부권역외상센터장 자리에서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힌 이국종 교수가 내달 첫 출근에서 병원 측에 공식적으로 사표를 제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외상센터 측은 이 교수의 센터장 사임이 예정된 일이라면서도 이 교수가 물러난 뒤 센터 운영에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우려했다.

 이 교수의 동료인 외상센터 정경원 과장은 지난 21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 교수와 병원이 서로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넜다"며 "이 교수는 다음 달 3일 출근하자마자 병원 측에 사임계를 제출할 예정이라고 알려왔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앞서 언론을 통해 센터장 사의 의사를 밝혔지만, 병원 측에는 공식적으로 알리지 않아 갈등이 봉합될 경우 굳이 센터장 자리에서 물러나지 않아도 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병원 안팎에서 나왔다.

 그러나 병원 측에 사의를 표명할 날짜까지 알리며 자신의 입장을 분명히 밝혀 그의 센터장 사임은 기정사실화됐다.

 외상센터 측은 이 교수의 센터장 사임이 최근 불거진 욕설 파문 때문이 아니라 오래 누적된 갈등에 따른 예상된 수순이라고 전했다.

 정 과장은 "병원과의 갈등이 최근 불거진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병상과 인력 문제는 2016년 센터 설립 초기부터 이어져 온 해묵은 갈등"이라며 "병원과 실랑이가 벌어질 때마다 이 교수는 본인이 물러나야겠다는 언급을 많이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향후 이 교수의 부재로 인해 나타날 센터 운영의 어려움을 걱정했다.

 정 과장은 "당장 닥터헬기만 해도 이 교수가 도입부터 현재까지 이끌어왔고 최근 인력부족 문제로 인한 의료진의 탑승 불가 방침도 이 교수가 세웠다"며 "향후 언제 다시 운항할지 모르지만 운항한다고 해도 이 교수가 있을 때와는 여러 면에서 다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닥터헬기 뿐만이 아니라 외상센터 자체를 이 교수가 세웠고 여기까지 끌어왔는데 이렇게 물러나게 되면 당연히 남은 의료진들의 사기도 떨어질 것"이라며 "예산, 병실부족 문제 등을 둘러싼 병원 측과의 줄다리기에서도 앞으로는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와 아주대병원 간의 갈등은 지난 13일 유희석 아주대의료원장이 과거 이 교수에게 "때려치워 이 XX야" 등 욕설하는 대화가 담긴 녹음파일이 보도되면서 외부에 알려졌다.

 최근 끝난 해군 훈련에 참가했던 이 교수는 이달까지 해군 파견 상태여서 다음 달 3일 병원에 복귀한다.

 병원 측은 이번 갈등에 대해 "현재로서는 내놓을 입장이 따로 없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작년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 지정 2곳뿐…역대 최저
작년 의료기기 임상시험 기관으로 지정된 의료기관이 2곳에 불과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11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작년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으로 지정된 곳은 숭인의료재단 김해복음병원과 동강의료재단 동강병원 2곳에 그쳤다. 작년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 지정 건수는 전년 9건에 비해 22.2%에 불과한 수준이다. 의료기기법상 임상시험을 위한 시설, 인력, 기구를 갖춘 의료기관을 임상시험기관으로 지정할 수 있다. 식약처는 2007년 임상시험의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안전하고 과학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 지정 제도를 도입했다. 2007년 3월 2일 서울대 치과병원이 제1호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으로 지정된 것을 시작으로 한 해 동안 연세대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고려대 의과대학부속 구로병원 등 모두 38개 기관이 지정됐다. 2008년 17곳이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으로 지정된 이후 2013년까지 매년 10곳 이상 지정됐다가 2014년부터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 2020년 10곳이 지정되며 반짝 두 자릿수를 기록하기도 했지만 이후로는 한 자릿수를 유지했고 작년 최저치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서는 은성의료재단 좋은강안병원이 지난 7일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