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 놔두면 유방암 발생 위험 1.2배↑"

순천향대·건국대 연구팀 4만5천명 분석…"65세 이상은 1.7배 더 위험"

 수면무호흡증(폐쇄성수면무호흡증)이 유방암 발생 위험을 유의미하게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호흡기 내 공기 흐름이 막히면서 코골이가 심해지고, 호흡이 일시적으로 10초 이상 멈추는 게 주 증상이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이비인후과 최지호 교수, 건국대병원 이비인후과 조재훈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7∼2014년 수면무호흡증 진단을 받은 20세 이상 여성 4만5천699명과 정상 대조군 22만8천502명을 분석한 결과, 수면무호흡증 여성의 유방암 발생 위험이 1.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특히 이런 연관성은 65세 이상 여성에서 1.72배로 더욱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팀은 수면무호흡증이 지속하면 간헐적 저산소증이나 수면분절 등 여러 합병증상을 유발함으로써 유방암의 발생과 악화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했다.

 최지호 교수는 "수면무호흡증은 고혈압, 심근경색, 협심증, 부정맥, 당뇨병, 뇌졸중, 치매 등 심각한 합병증에 더해 유방암과 같은 일부 악성 종양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면서 "만약 잦은 코골이, 과도한 주간 졸음, 수면 중 호흡 장애 등이 있는 경우에는 치료를 받는 게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최근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머리가 있냐 없냐" 간협, '태움' 등 피해 간호사 심리상담
"보호자에게 폭행당했다는 데도 병원은 '그냥 참으라'고만 하더라. 그 일을 겪은 뒤에는 환자 얼굴만 봐도 숨이 막혔다. 병원은 끝까지 '너만 참으면 된다'고 했다."(간호사 A씨) "출근해서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상급자 눈치를 보는 거다. 상급자가 기분이 나쁜 날에는 하루 종일 업무를 지적하고 후배들 앞에서 모욕을 주는 게 다반사다. 얼굴에 대고 악을 지르거나 '너 때문에 일을 못 하겠다', '머리가 있냐 없냐', '우리 집 개도 너보다 말을 잘 듣는다'는 등 폭언이 이어진다."(간호사 B씨) 간호사 2명 중 1명이 이처럼 현장에서 폭언이나 폭행 등 인권침해를 경험한 적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대한간호협회(간협)가 지난 21일 간호사의 정신건강 증진과 인권 보호를 위한 '간호사 심리상담 전문가단'을 공식 출범했다. 간협은 이날 출범한 전문가단과 간호인력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현장에서 '태움' 등 인권침해 등을 겪은 간호사 대상 심리상담 지원과 간호사 내부 조직문화 개선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태움'은 선배 간호사가 신임 간호사를 괴롭히며 가르치는 방식과 그런 문화를 지칭하는 용어다. '재가 될 때까지 태운다'는 표현에서 유래했다. 교육이라는 명목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