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방·고당분 식사 계속되면 기억·식욕 조절 뇌 해마 손상 "

 

지방과 당분이 많은 식사를 1주일만 계속해도 기억과 식욕을 조절하는 뇌 부위인 해마(hippocampus)가 고장 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호주 시드니 매쿼리(Macquarie) 대학의 리처드 스티븐슨 심리학 교수 연구팀이 체중이 정상인 건강한 대학생(20~23세) 1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험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영국의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19일 보도했다.

 지방과 당분이 많은 식사는 뇌의 기억 중추인 해마의 기능에 손상을 가져와 먹은 음식에 대한 기억을 잊어버리고 만복 상태인데도 음식을 더 찾게 된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팀은 이 대학생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포화지방과 첨가당(added sugar)이 듬뿍 함유된 식사를, 다른 그룹엔 포화지방과 첨가당이 적은 평소의 식사를 1주일 동안 계속하게 했다.

 실험 첫날과 마지막 날에는 아침 식사를 연구실에서 하게 하고 식사가 끝난 후 맛있게 보이는 가당 시리얼과 우유, 누텔라 바른 토스트 등 간식을 보여주면서 먹고 싶은 마음이 어느 정도인지를 점수로 매기게 했다.

 연구팀은 이와 함께 기억력과 학습력을 평가하는 인지기능 테스트를 시행했다.

 그 결과 고지방-고당분 식사 그룹은 배 불리 먹은 뒤인데도 후식으로 나온 음식을 먹고 싶은 욕구가 대조군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또 인지기능 테스트 성적도 대조군보다 나빴다.

 이는 해마의 기능이 건전하지 못한 식습관 같은 환경적 위험에 취약하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실험결과는 또 패스트푸드가 뇌의 인지기능을 손상시켜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일부 연구결과를 뒷받침하는 것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그러나 재미있는 것은, 이 실험이 끝나고 참가자들이 평소의 식습관으로 돌아간 다음 3주가 지나서 똑같은 테스트를 한 결과 해마의 기능도 정상으로 되돌아와 있었다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 왕립학회(Royal Society) 학술지 '오픈 사이언스'(Open Science)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땅콩가루 먹여 땅콩알레르기 치료…호주, 경구 면역요법 첫 도입
호주 정부가 아이들의 땅콩 알레르기를 치료하기 위해 땅콩 가루를 조금씩 먹여 면역력을 키우는 방법을 공식 채택했다. 1일(현지시간) 호주 SBS 방송 등에 따르면 전날 호주 국립 알레르기 센터는 공립 병원에서 땅콩 알레르기가 있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경구 면역 요법 프로그램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호주 정부에 따르면 호주 출생자 3%는 생후 12개월 내 땅콩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고, 이들 중 20%만이 10대가 됐을 때 알레르기 반응이 없어진다. 땅콩 알레르기는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이지만 심각한 경우 소량의 땅콩만 먹어도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 병원에서는 땅콩 알레르기 반응이 나오면 땅콩버터나 빵 등 땅콩이 조금이라도 들어간 음식은 엄격하게 피하도록 지도해 왔다. 하지만 호주 정부가 도입한 경구 면역 요법은 2년 동안 땅콩 가루를 조금씩 먹이고 점점 양을 늘리면서 땅콩에 면역이 생기도록 하는 치료법이다. 임상 시험이나 일부 전문 알레르기 센터에서만 사용하는 방식으로 정부 차원에서 경구 면역 요법을 채택한 나라는 호주가 처음이다. 국립 알레르기 센터 경구 면역치료 책임자 커스틴 페렛은 "궁극적으로 우리는 더 많은 어린이가 목숨을 위협하는 땅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