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망막사진으로 성별·나이 분석하는 기술 개발

망막안저사진 41만장 이용해 추정 알고리즘 개발

  눈에서 시력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신경 부분인 망막안저 사진을 이용해 환자의 성별과 나이를 추정하는 기술을 국내 연구팀이 개발했다.

 박상준 분당서울대병원 안과 교수 연구팀(김용대 강동성심병원 조교수, 노경진 연구원)은 병원 건강검진센터에 축적된 41만2천26장의 망막안저 사진을 이용해 연령과 성별을 분석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알고리즘을 시행한 결과 나이 추정은 오차가 평균 2.9세를 넘지 않았다. 성별은 기저질환에 상관없이 96% 이상의 확률로 정확히 구분했다.

 박 교수는 "망막안저검사는 빠르고 비용이 저렴한 데다 방사선 노출이 없는 간단한 검사"라며 "이번에 개발한 알고리즘을 발전시키면 눈의 병변뿐만 아니라 전신의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Nature)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온라인판에 지난달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료인력 수급추계위 운영규칙 입법예고…'5년마다 직종별 추계'
보건복지부는 의대 정원 등 보건의료인력 수급 추계를 5년마다 실시하는 내용의 '보건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추계위) 운영규칙 제정안'을 내달 25일까지 입법예고한다. 해당 규칙은 지난달 보건의료기본법이 개정됨에 따라 설치되는 보건의료 직종별 추계위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기 위해 제정됐다. 개정법은 의사·치과의사·한의사·간호사·약사·한약사·의료기사 등에 대해 복지부 장관 소속 추계위를 두고 주기적으로 중장기 수급 추계를 실시하도록 했다. 이날 입법예고된 안은 추계 주기를 5년으로 두되 복지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그 주기를 단축해 실시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의사 외 직종별 수급추계 시행 시점은 치과의사·간호사 2027년 1월 1일, 한의사·약사·한약사 2028년 1월 1일, 의료기사 2029년 1월 1일로 명시했다. 위원회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하도록 했다. 위원 임기는 3년으로 연임이 가능하도록 했다. 2027학년도 의대 정원을 심의할 의사 인력 추계위는 위원 추천에 부정적인 의견을 보이던 대한의사협회가 지난 12일 추천을 완료하며 구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복지부는 후보들에게 일부 경력 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