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이상 지방간 발병·악화 유도하는 유전물질 첫 규명"

UNIST·부산대·울산대병원 연구…"비타민 B3로 효과적 억제 가능"

 대사 이상 지방간을 악화시키는 유전물질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과 최장현 교수팀은 부산대 약학대 윤화영 교수팀, 울산대병원 박능화 교수팀과 함께 간에서 발현되는 마이크로RNA-93(miR-93)이 대사 이상 지방간의 발병과 악화를 유도하는 유전물질임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최근 밝혔다.

 지방간을 앓고 있는 환자와 동물 실험 모델에서 miR-93의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았는데, miR-93이 간세포에서 지방 대사와 연관된 SIRT1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방식의 분자 기전을 통해 지방 축적과 염증 반응, 섬유화 등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유전자 편집을 통해 miR-93 생성 기능을 제거한 실험 쥐는 간 내 지방 축적이 눈에 띄게 감소했고, 인슐린 민감도와 간 기능 지표가 크게 개선됐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반면 miR-93을 과도하게 발현시킨 쥐는 간 대사 기능이 악화했다.

 연구진은 미국 식품의약품청(FDA) 승인 약물 150종을 대상으로 스크리닝을 진행해 miR-93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물질이 비타민 B3로 알려진 니아신이라는 사실도 밝혀냈다.

 실험에서 니아신을 투여한 쥐는 간 내 miR-93 수치가 크게 감소했고, SIRT1 유전자의 활성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활성화된 SIRT1은 지방산 분해를 촉진하는 신호 전달 경로를 다시 작동해 무너졌던 간 내 지질 대사 기능을 정상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대사 이상 지방간의 분자적 발병 원인을 정확히 규명하고, 이미 승인된 비타민 성분으로 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임상 적용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이어 "고지혈증 치료제로 활용되는 니아신은 안전성이 입증된 약물인 만큼 miRNA 기반 복합 치료 전략에도 적용할 수 있는 유력 후보"라고 덧붙였다.

 이런 연구 결과는 지난달 12일 생의학 분야 학술지 '메타볼리즘: 클리니컬 앤드 익스페리멘털'(Metab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온라인판에 공개됐다.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한국신약개발재단,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의 지원을 받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불가항력' 신생아 중증 뇌성마비, 국가가 최대 3억원 보상
분만 중에 의료인이 주의 의무를 다했음에도 불가항력적으로 발생한 신생아 뇌성마비 등 의료사고에 대해 국가가 최대 3억원까지 보상한다. 보건복지부는 분만사고 유형별 보상한도, 보상금 지급방식 등을 담은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금 지급 등에 관한 고시' 제정안을 16일부터 내달 5일까지 행정예고 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대표적인 필수의료 행위인 분만 과정에서 발생한 불가항력적 분만사고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3월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개정해 보상한도를 3천만원에서 3억원으로 상향한 바 있다. 의료사고 피해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동시에 소송 리스크에 시달리는 산부인과 의료진의 부담을 덜어줘 필수의료 기피도 해소한다는 취지다. 개정 시행령의 7월 시행을 앞두고 마련된 이번 고시 제정안에선 비슷한 제도를 운영 중인 해외 사례와 전문가 검토를 거쳐 보상범위와 한도 등을 구체화했다. 우선, 분만사고로 인한 신생아 뇌성마비는 출생 당시 체중이 2㎏ 이상으로, 재태주수(임신부터 출산 전까지 태아가 자궁 내에서 성장하는 기간)가 32주 이상인 경우, 분만 중 산모 사망은 재태 주수가 20주 이상인 경우를 보상 가능 범위로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