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 메틸화 수치 이용해 악성 갑상선암 진단"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경계성 갑상선암에 대한 불필요한 수술 줄일 것"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김용성 박사 연구팀이 악성 갑상선암에서는 특정 DNA의 메틸화가 과도하게 일어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16일 밝혔다.

 DNA 메틸화는 DNA에 메틸기가 붙어 발생하는 후성학적인 변화를 말한다.

 염기 서열의 변화는 일으키지 않지만,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정상세포에서는 암 억제 유전자의 DNA 프로모터(DNA 염기서열 앞부분) 부위에는 메틸기가 붙어 있지 않고, 암 유전자에는 DNA 프로모터에 메틸기가 부착돼 유전자 발현이 억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하지만 거꾸로 암 억제 유전자의 DNA 프로모터가 메틸화되고, 암 유전자의 DNA 프로모터는 탈 메틸화될 경우 유전자 발현이 활성화되면서 암세포가 발생하게 된다.

 즉 DNA 프로모터에서의 메틸화 유무가 암세포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갑상선암에서 'MMP7', 'MICAL2', 'DIAPH1' 유전자 상의 DNA 프로모터 과메틸화가 높은 빈도로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서울성모병원 갑상선암 환자 200여명에게서 떼어낸 임상 시료 분석 결과 악성 갑상선유두암종에서 이들 유전자 상의 DNA 메틸화 수치가 경계성 갑상선암에 비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들 DNA 유전자 상의 과메틸 정도를 바이오마커(질병의 진행 정도를 진단하는 생물학적 지표)로 이용해 악성 갑상선암 진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용성 박사는 "DNA 메틸화 바이오마커를 활용한 검사법이 임상 현장에 도입된다면 경계성 갑상선암에 대한 불필요한 수술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정찬권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진행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싸 이로이드'(Thyroid) 지난 3월 호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