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중한 코로나19 증상, 백혈구 과잉 활성화가 원인일 수도"

급성 호흡곤란 있으면 '호중구 세포외 트랩'이 폐 등 손상
콜드스프링하버 연구소, '실험의학저널'에 논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심해지면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RDS), 폐렴 및 광범위한 폐 손상, 기도의 짙은 가래, 혈전 등 증상이 나타난다.

 병세가 위중한 코로나19 환자는 인공호흡기를 쓰다가 나중엔 에크모(ECMO·체외막형 산소화 장치)까지 동원하지만, 상당수가 결국 생명을 잃는다.

 에크모는 심장과 폐가 멈춘 환자의 몸에서 피를 뽑아 산소를 공급한 뒤 돌려보내는 장치로 환자를 살리는 마지막 수단으로 쓰인다.

 그런데 ARDS 등 코로나19의 위중한 증상들이, 백혈구의 일종인 호중구(neutrophils)의 과잉 활성화에서 비롯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박테리아 등 병원체가 발견되면 호중구는 DNA를 방출해, 독성 효소를 함유한 DNA 망(web)으로 병원체를 집어삼킨다.

 그런데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이 생긴 경우에는 '호중구 세포외 트랩(NETs)'이라는 이 DNA 망이 폐와 다른 주요 기관에 심한 손상을 가한다는 것이다.

 호중구는 전체 백혈구의 55~70%를 차지하는 과립구 세포로서 선천 면역의 핵심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미국의 콜드스프링하버 연구소·페인스타인 의학 연구소·텍사스대 MD 앤더슨 암 센터, 캐나다의 맥길대 보건센터 연구소 등 11개 연구기관이 참여한 '네트워크(NETwork) 컨소시엄' 이 수행했고, 관련 논문은 20일 '실험의학저널(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에 실렸다.

 호중구 세포외 트랩(NETs)이 처음 발견된 건 2004년이다. 하지만 지금까진 다른 질병과 관련된 작용에만 연구가 집중돼, 과학자들 사이에 널리 알려지진 않았다.

 네트워크 컨소시엄이 코로나19에 주목한 건, 과도한 NETs 활성화로 생기는 호흡곤란 증상이 중증 코로나19 환자의 ARDS와 유사했기 때문이다.

 다른 폐 감염증 환자와 달리 코로나19 환자의 기도엔 짙은 가래가 생기고, 정상보다 훨씬 높은 비율로 전신 혈전이 발생하는 것도 NETs를 연상시켰다.

 실제로 NETs는 암이나 패혈증 환자의 혈액에서 혈전 생성을 촉진하기도 한다.

 네트워크 컨소시엄의 과학자들은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NETs 과민 반응이 코로나19의 공통적인 특징인지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NETs의 과도한 활성화가 코로나19의 위중한 증상을 유발한다는 게 입증되면 유망한 치료법 개발의 길이 열릴 것으로 과학자들은 기대된다.

 아울러 NETs와 호중구의 이상 작용으로 발생하는 낭포성 섬유증, 통풍, 류머티즘 관절염 등에 쓰이는 치료법이 코로나19 환자의 과도한 NETs 활성화를 막을 수 있다는 제안도 나온다.

 논문의 공동 교신저자인 페인스타인 연구소의 벳시 반스 교수는 "코로나19의 위중한 병세나 특별한 임상적 특징이 NETs의 존재와 연관돼 있는지를 확인하는 게 중요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대웅제약 펙수클루, 중국 품목허가 획득…내년 하반기 발매
대웅제약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고 6일 밝혔다. 적응증은 역류성식도염의 치료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2022년 출시한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계열의 3세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MS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항궤양제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약 3조원으로 세계 최대 수준이고,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대웅제약은 내년 하반기 펙수클루를 발매해 중국 현지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진출 전략을 펼쳐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펙수클루는 지난해 기준 출시 3년 만에 국내외에서 연매출 1천억원을 넘어섰다. 현재 인도와 멕시코, 칠레, 에콰도르, 필리핀 등 6개국에 출시됐다. 현재 총 30여개국에 진출했으며, 2027년까지 100개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이번 중국 품목 허가는 펙수클루가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으로 도약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세계 최대 항궤양제 시장인 중국에서 펙수클루가 환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