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전남대병원, 악성 흑색종 탐지 정밀진단기술 개발

초고감도 PET 영상센서로 조기진단·생존율 향상 기대

  화순전남대병원은 핵의학과 민정준 교수·김동연 박사 연구팀이 '악성 흑색종'의 전이 병소를 정밀하게 탐지하는 초고감도 PET 분자영상 프로브(센서) 개발에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팀은 피부암의 일종인 악성 흑색종에서 분비되는 멜라닌 분자에 강하게 흡착하는 벤자마이드(benzamide) 유도체를 이용해 새로운 분자 영상 정밀진단기술을 개발했다.

 악성 흑색종은 초기에 진단될 경우 수술을 통해 제거하면 되지만, 전이되면 1년내 사망률이 75%에 달한다.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조기진단이다.

 연구팀은 화학적 방법을 통해 원발병소는 물론 1㎜ 미만의 작은 암 전이 병소까지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영상 프로브를 제작했다.

  프로브(probe)란 생체 내 특정 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도구를 말한다.

 이번에 개발한 흑생종 표적 약물은 [18F]DMPY2라고 명명했으며 지금까지 개발된 표적 약물 중 가장 높은 종양 표적 능력을 보인다.

 향후 치료용 방사성 핵종을 결합하면 악성 흑색종의 표적 치료를 위한 새로운 방사성 의약품 개발로도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

 연구팀은 DMPY2 구조를 기반으로 진단과 치료를 겸할 수 있는 테라노스틱스(theranostics) 제제를 개발중이다.

 이 연구는 세계적 과학 저널인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5월 21일 자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이 기술에 대한 국내 특허를 등록하고 해외 특허를 출원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미래 유망 융합기술 파이오니어 사업과 보건복지부의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지원으로 이뤄졌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여름 앞두고 자외선차단제 경쟁…투명 제형부터 복합기능까지
여름을 앞두고 화장품 업계의 자외선차단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물처럼 흐르는 액체 형태부터 주름 개선과 미백 등의 복합 기능까지 갖춘 제품도 등장하고 있다. 4일 화장품 업계에 따르면 자외선차단제는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하는 데 발림성이나 피부가 하얗게 뜨는 백탁현상, 기능성 등을 따지는 경향이 강한 카테고리로 매년 여름 신제품 경쟁이 치열 하다. 이에 화장품 업체들은 연구개발에 공을 들이고 있다. 화장품 제조업자 개발생산(ODM) 기업 코스맥스[192820]는 최근 5년간 특허 출원 건수 중 10% 이상인 60여건을 자외선 차단 기술에 할애했다. 올해 초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해 연구혁신(R&I)센터 내 자외선 차단 제형 연구를 담당하는 선케어(SC)랩을 독립시키고 조직도 확대했다. 코스맥스의 대표적인 자외선 차단 제형으로는 투명한 '캡슐선'이 있다. 가벼운 사용감과 백탁현상이 덜한 제형을 선호하는 젊은 세대의 특성을 조준한 것이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코스맥스는 지난해 말 포항공과대학교 연구팀과 공동으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자외선 차단 소재인 '스파이크 야누스 나노입자'도 개발했다. 코스맥스 관계자는 "자외선차단제 수요가 국내외에서 빠르게 증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