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코올 의존 성향 있으면 우울증·불면증 위험 높아"

43만명 유전자 데이터 분석 결과…약물·담배 의존 가능성도 커
덴마크 오르후스대 등 연구진, '네이처 신경과학'에 논문

 알코올 중독과 같은 '문제성 알코올 소비(problematic alcohol use)' 성향을 가진 사람은 유전적으로 우울증 등 신경 질환을 일으키거나 약물과 담배에 의존할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영국·독일·스웨덴·덴마크 5개국 과학자들이 UK 바이오뱅크 등에 등록된 43만여명의 유전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여기서 '문제성 알코올 소비'의 범주엔 이미 알코올 중독 진단을 받은 사람뿐 아니라 알코올 소비로 인해 사회·정신·건강 측면의 문제를 겪고 있는 사람도 포함된다.

 관련 논문은 저널 '네이처 신경과학(Nature Neuroscience)'에 최근 실렸다.

 최근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에 따르면 연구팀은 '문제성 알코올 소비' 성향의 피험자에게서 더 자주 발견되는 유전적 변이 패턴을, 우울증 등 다른 신경질환에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는 전자 패턴과 대조했다.

 그 결과, 알코올 남용과 다른 물질의 남용, 그리고 알코올 남용과 우울증·불면증·ADHD(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등의 유전적 연관성이 일부 드러났다.

 문제성 알코올 소비와 관련해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19개의 유전적 변이가 추가로 발견됐다. 지금까지 10개만 알고 있었다.

 이 가운데 16개의 유전자는 약으로 만드는 표적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개발된 의약품으로 이들 16개 유전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미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덴마크 오르후스대의 메터 니에하르트 생물의학 부교수는 "연관해 작용하는 유전적 요소가 분명히 존재하나 유전자 혼자서 모든 걸 결정하는 건 아니다"라면서 "환경 등 다른 요인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