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에 사는 바이러스에서 항생제 내성 유전자 찾았다

"바이러스 메타유전체 분석해 내성 유전자 25개 확인"

 국내 연구진이 한강에 사는 바이러스에서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유전자를 찾아냈다.

 한국연구재단은 조장천 교수(인하대), 문기라 박사(인하대), 이상희 교수(명지대), 차창준 교수(중앙대) 공동 연구팀이 한강 바이러스 '박테리오파지'에서 항생제 내성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를 확인해 '한강 바이롬 베타락탐 분해효소'(HRV)라고 이름 붙였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은 한강 표층수를 채취해 세균을 제거하고 바이러스만 농축했다.

 핵산 추출로 130만개의 염기서열 조각을 얻었고, 이 가운데 항생제 내성 유전자 25개를 찾아냈다.

 베타락탐 분해 핵심서열을 가진 4개의 유전자가 대장균에서 실제 유효한 분해효소를 만드는지 실험한 결과, 대장균이 여러 베타락탐계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테리오파지 바이러스는 세균을 숙주로 삼아 기생하는데, 기존에는 세균을 배양하기 어려워 바이러스도 분리·배양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박테리오파지 유전자를 직접 분석할 수 있는 바이러스 메타유전체 분석 방법을 이용해 처음으로 바이러스 유전체의 서열을 대용량으로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환경 바이러스 중에 활성이 있는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발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조장천 교수는 "앞으로 이 바이러스에 있는 항생제 내성 유전자가 병원성 세균에 전달될 수 있을지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지난 1일 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