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에 사는 바이러스에서 항생제 내성 유전자 찾았다

"바이러스 메타유전체 분석해 내성 유전자 25개 확인"

 국내 연구진이 한강에 사는 바이러스에서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유전자를 찾아냈다.

 한국연구재단은 조장천 교수(인하대), 문기라 박사(인하대), 이상희 교수(명지대), 차창준 교수(중앙대) 공동 연구팀이 한강 바이러스 '박테리오파지'에서 항생제 내성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를 확인해 '한강 바이롬 베타락탐 분해효소'(HRV)라고 이름 붙였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은 한강 표층수를 채취해 세균을 제거하고 바이러스만 농축했다.

 핵산 추출로 130만개의 염기서열 조각을 얻었고, 이 가운데 항생제 내성 유전자 25개를 찾아냈다.

 베타락탐 분해 핵심서열을 가진 4개의 유전자가 대장균에서 실제 유효한 분해효소를 만드는지 실험한 결과, 대장균이 여러 베타락탐계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테리오파지 바이러스는 세균을 숙주로 삼아 기생하는데, 기존에는 세균을 배양하기 어려워 바이러스도 분리·배양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박테리오파지 유전자를 직접 분석할 수 있는 바이러스 메타유전체 분석 방법을 이용해 처음으로 바이러스 유전체의 서열을 대용량으로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환경 바이러스 중에 활성이 있는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발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조장천 교수는 "앞으로 이 바이러스에 있는 항생제 내성 유전자가 병원성 세균에 전달될 수 있을지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지난 1일 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