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라낸 단면으로 뇌의 3차원 구조 자동 분석 기술 개발

KAIST "쥐의 뇌 구조 분석…수동 작업보다 정확도 높아"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백세범·이승희 교수 연구팀이 쥐의 뇌 절편(2차원 단면 조각) 영상을 이용해 3차원 뇌 구조를 자동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뇌의 3차원 구조를 분석하려면 직접 절개는 어렵기 때문에 잘라낸 뇌 조각들을 조합해 3차원 이미지를 미루어 추정하는 방식이 쓰인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이 맨눈으로 관찰해 수동으로 일일이 위치를 맞춰보고 분석해야 하는데, 개별 연구자의 역량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표준화가 어렵고 오차가 커진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미국 '알란 브레인 아틀라스'(Allen Brain Atlas) 프로젝트에서 제공하는 쥐 뇌의 표준 지도에 기반, 임의의 각도에서 잘라낸 쥐의 뇌 절편 이미지의 특징점을 이용해 전체 순서와 위치를 맞춰볼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뭉개지거나 불균형이 생기는 부분은 표준 지도에 맞춰 수정,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이처럼 자동 계산한 뇌 절편의 3차원 위치의 오차는 100 마이크로미터(㎛·1천분의 1㎜) 이하, 기울기는 1도 이하로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이용해 뇌의 외측 슬상핵(외부 시각 정보가 신경세포 신호로 처음 변환되는 영역)과 시각 피질 사이의 연결 구조를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에는 전체 뇌의 신경세포의 분포를 확인하려면 수십∼수백 장의 절편 영상이 필요했지만, 이번 기술을 활용하면 절편 영상 서너장 만으로도 전체 뇌의 배열을 분석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백세범 교수는 "기존 뇌 신경세포의 3차원 분석에 걸리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쥐의 뇌뿐만 아니라 다른 동물의 뇌에도 확대 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셀 리포츠'(Cell Reports) 지난 달 26일 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