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당 편식하는 암세포, 젖산 성분 알려진 갈락토스 만나면 죽는다

AKT 변이 암세포, 산소 당 대사 의존도 높아져
미 서던캘리포니아대 연구진, '세포 과학 저널'에 논문

 세포는 정상 세포보다 더 왕성하게 포도당 대사를 한다.

 세포 분열과 성장 속도가 훨씬 더 빨라 그만큼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포도당 편식(sugar inflexibility)' 성향이 특정 유형의 암세포엔 결정적 약점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형이 다른 갈락토스(galactose)에 노출되면 대사 적응을 못 해 사멸한다는 것이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의 니컬러스 그레이엄 화학공학·소재 과학 조교수팀은 최근 국제학술지 '세포 과학 저널(Journal of Cell Science)'에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22일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암세포가 당 공급(sugar supply)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건 발암 유전자의 유도 작용 때문이었다.

 일반적으로 세포는 포도당 대사를 통해 에너지를 얻지만, 정상 세포는 대부분 포도당이 없을 때 갈락토스를 쓰기도 한다.

 젖당의 구성 성분으로 널리 알려진 갈락토스는 그 외에도 뇌와 신경조직의 당지질 등 여러 중요한 생리 화합물을 구성한다.

 연구팀은 AKT라는 발암 유전자를 가진 암세포가 갈락토스에 노출되면 이를 분해하지 못하고 사멸한다는 걸 발견했다.

 이런 암세포는 산화 대사(oxidative metabolism)에 더 많이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산소를 써서 당을 에너지로 전환하는 방식이다. 포도당에서 직접 에너지를 얻는 당 분해 촉진성 대사(glycolytic metabolism)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활성 AKT 신호 경로를 가진 암세포는 정상 세포와 달리 갈락토스 대사를 하지 못했다. 이 신호 경로는 유방암 세포에서 흔히 발견된다.

 하지만 MYC 유형의 암세포는 갈락토스 노출로 산화 상태가 조성돼도 죽지 않았다.

 그레이엄 교수는 "AKT 돌연변이를 가진 환자에겐 당 분해 억제제를 쓸 수 있지만, MYC 돌연변이 환자에겐 쓰지 말아야 한다"라면서 "이론적으로 그런 환자에겐 당 분해 억제제가 듣지 않는다"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갈락토스 자체만 갖고 AKT 유형 암세포 치료에 효과를 볼 거로 기대하진 않는다.

 그보다는 갈락토스 실험을 통해 산화 상태에서 사멸하는 암세포의 근본적 결점을 찾아낸 것에 주목한다.

 연구팀은 특정한 표적 치료제나 유전자 치료법을 사용해, 암세포를 산화 상태로 몰아넣는 시스템적 접근이 가능할 거로 본다.

 시스템 생물학(systems biology)의 암 치료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걸 목표로 삼는다.

 그런 점에서 암세포의 대사 과정을 직접 겨냥하는 기존의 화학치료나 방사선치료와 다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연내 공공의대 설립 근거 마련…설립까지 이르면 3년"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새 정부 보건의료정책의 핵심으로 '지·필·공(지역·필수·공공의료)'을 내세우고 의료 인력 양성을 위해 올해 안에 공공의료사관학교(공공의대) 설립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 22일 서울 영등포구 FKI타워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의료서비스의 지역 격차 해소, 필수의료 확충, 공공의료 강화에 힘쓰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정 장관은 "공공의료사관학교는 전국 단위의 공공의료기관이나 공공 분야에서 필요한 의사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공공의대 개념"이라며 "법을 새롭게 제정하고 준비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구체적인 설립 시기를 언급하기는 어려우나, 올해 안에 법안 근거를 만드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내년도 예산에 공공의대 설계가 반영돼 있다"면서 "대학을 설립하고 준비하는 과정이 몇 년이 될지 말하기는 어렵지만 3∼5년 정도이고, 정책 실행 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의대 졸업 후 지역에서 일정 기간 의무 복무케 하는 지역의사제 도입에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의료계가 지적하는 지역의사제의 위헌 소지나 실효성 논란에 대해서는 반박했다. 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