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초점 콘택트렌즈 쓰면 근시 진행 늦출 수 있다"

근시 어린이 287명 시험, 3년간 근시 진행 43% 억제 효과
렌즈 초점력과 비례해 효과 나타나… 미 의사협회 저널에 논문

 적절한 시기에 다초점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면 어린이 근시가 심해지는 걸 늦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오하이오 대학 연구진이 만 7세부터 11세 사이 근시 어린이 287명(-0.75∼ -5.00 디옵터)을 대상으로 진행한 BLINK 연구에서 드러난 사실이다. 디옵터(diopter)는 시력 교정 렌즈의 굴절률을 표시하는 단위다.

 주목할 부분은 다초점 콘택트렌즈의 초점력이 강할수록 근시로 진행하는 속도가 느려진다는 것이다.

 이번 BLINK 연구 자금은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 눈 연구소(National Eye Institute)'가 지원했고, 관련 논문은 11일(현지시간) 미국 의사협회 저널(JAMA)에 실렸다.

 근시는 각막과 망막 사이가 너무 벌어져, 멀리 떨어진 물체의 이미지 초점이 망막 앞에 잡히는 것이다. 근시가 되면 가까운 건 볼 수 있지만, 원거리 시력이 약해진다.

 다초점 콘택트렌즈의 중앙부는 망막에 초점을 형성해 근시의 원거리 시력을 개선한다.

 그러나 눈의 비정상적인 성장을 막아 주는 건 다초점 콘택트렌즈의 외측부였다. 이 외측부는 주변 광선을 망막 앞으로 모으는 초점력(focusing power)을 강화한다.

 이렇게 망막 앞에 초점이 형성되면 눈의 성장이 둔화한다는 게 동물 실험에서 밝혀졌다.

 각막과 망막의 사이가 멀어지면 이미지 초점이 망막 앞에 잡혀 근시가 된다.

 반대로 단일 초점 안경이나 보통 콘택트렌즈는 망막 뒤에 초점을 형성해 안구가 계속 성장하게 자극했다.

 실제로 근시 진행과 안구 성장을 늦추는 효과는 다초점 콘택트렌즈의 초점력에 비례해 커졌다.

 3년간 근시가 진행한 정도를 보면, 렌즈의 초점력이 강한 그룹이 평균 -0.6 디옵터, 초점력이 중간인  그룹이 -0.89 디옵터, 단일시(single vision)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사용한 그룹이 -1.05 디옵터였다.

 안구 성장도, 강한 다초점 렌즈가 0.42㎜, 중간 다초점 렌즈가 0.58㎜, 단일시 렌즈가 0.66㎜로 측정됐다.

 이는 3년 동안 강한 다초점 콘택트렌즈를 쓰면 최고 43%가량 근시 진행을 늦출 수 있다는 얘기다.

 연구팀은 "다초점 콘택트렌즈를 어느 정도 오래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인지는 더 연구가 필요하다"라면서 "콘택트렌즈 사용을 중단했을 때 근시 진행을 늦춘 효과가 어느 정도 유지될지도 확인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미국인의 근시 비율은 1971년 25%에서 2004년 33%로 급상승했다.

 2015년이 되면 전세계 근시 인구가 54%에 달하고, -5.0 디옵터 이하의 고도근시(High myopia)도 10%에 육박할 것으로 관측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방의료 붕괴 현실로…수도권-지방 '수명 격차' 13년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기대수명이 13년이나 차이 나는 현실이 수치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히 통계적 차이를 넘어 수도권과 지방 간에 깊어진 의료 불균형이 국민의 생명권마저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등이다. 서울 서초구의 기대수명은 90.11세에 달하지만, 경북 영덕군은 77.12세에 그친다. 이런 '수명 격차'의 근본 원인으로 의료 인프라의 극심한 지역 편중이 지목된다. 의사와 대형병원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필수의료 체계는 붕괴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이는 곧 지역 소멸을 앞당기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다. 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불균형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연평균 증가율마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중증 질환 발생 시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돼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