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헉, 내 얼굴 맞아?'…코로나19 화상회의로 바빠진 성형외과

 코로나19 쇼크로 여행사와 영화관은 물론 학원, 식당 등이 직격탄을 맞았는데요. 성형외과는  오히려 호황을 누리고 있는 곳이 있다고 합니다.…

  하나은행 소속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펴낸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코로나 확진자가 급증하던 지난 3월 성형외과는 9%포인트, 안과는 6%포인트 각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스크로 얼굴을 가릴 수 있는 데다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나다 보니 수술이나 시술에서 회복할 시 벌 수 있게 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현상은 해외도 마찬가지로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코로나로 인한 봉쇄령이 성형외과를 찾는 수요를 증가시켰다고 전하고 있다.

 재택근무가 늘어나면서 활용 빈도가 증가한 화상회의. 셀카 등을 통해 자신을 볼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중장년층이 카메라에 비친 모습을 보고 깜짝 놀라게 됐다는 것.

  원래 알고 있는 얼굴과 화면 속 얼굴의 괴리가 큰 데다, 왠지 어색하고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다고 느낀다는 설명이다.

 한 전문의는 과도하게 성형에 집착하는 이른바 '줌 패닉'(Zoom panic) 현상을 우려하기도 했다.

  클리닉 문을 닫은 지역에선 재시술을 받지 못해 불안해하는가 하면, 벌써부터 무자격자나 자가 시술로 인한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한다.

 카메라와 가까운 부위일수록 실물을 왜곡하기도 하고, 대체로 화면을 내려다보기 때문에 목주름이 부각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실제로 한국에서도 40대 이상 남성이 성형외과 문턱을 넘는 경우가 부쩍 늘었다.

  코끝에 도드라져 보이는 흉터나 반점을 없애거나 팔자주름, 사각턱에 각각 필러와 보톡스를 맞는 사례가 많다.

 김성환 한림대강남성심병원 성형외과 교수는 "(화상회의에서)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게 되면 턱끝과 코끝, 사각턱이 강조돼 보이는 경향이 있다"며 "코끝과 입술선의 각도에 따라서 콧방울이 커 보이기도 해서 이에 대한 환자들 문의가 종종 들어온다"고 밝혔다.

 바깥 활동을 줄일 수밖에 없는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상황이 성형외과를 더욱 바쁘게 만들었다는 설명도 나온다.

 여행이나 쇼핑, 외식에 예전처럼 비용을 지출하지 않게 되면서 그만큼 외모에 더 투자하게 된다는 것이다.

 평소에는 그냥 지나치던 내 얼굴을 새삼 자세히 들여다보게 된 사람들. 코로나19 사태가 불러온 색다른 풍경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