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헉, 내 얼굴 맞아?'…코로나19 화상회의로 바빠진 성형외과

 코로나19 쇼크로 여행사와 영화관은 물론 학원, 식당 등이 직격탄을 맞았는데요. 성형외과는  오히려 호황을 누리고 있는 곳이 있다고 합니다.…

  하나은행 소속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펴낸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코로나 확진자가 급증하던 지난 3월 성형외과는 9%포인트, 안과는 6%포인트 각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스크로 얼굴을 가릴 수 있는 데다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나다 보니 수술이나 시술에서 회복할 시 벌 수 있게 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현상은 해외도 마찬가지로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코로나로 인한 봉쇄령이 성형외과를 찾는 수요를 증가시켰다고 전하고 있다.

 재택근무가 늘어나면서 활용 빈도가 증가한 화상회의. 셀카 등을 통해 자신을 볼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중장년층이 카메라에 비친 모습을 보고 깜짝 놀라게 됐다는 것.

  원래 알고 있는 얼굴과 화면 속 얼굴의 괴리가 큰 데다, 왠지 어색하고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다고 느낀다는 설명이다.

 한 전문의는 과도하게 성형에 집착하는 이른바 '줌 패닉'(Zoom panic) 현상을 우려하기도 했다.

  클리닉 문을 닫은 지역에선 재시술을 받지 못해 불안해하는가 하면, 벌써부터 무자격자나 자가 시술로 인한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한다.

 카메라와 가까운 부위일수록 실물을 왜곡하기도 하고, 대체로 화면을 내려다보기 때문에 목주름이 부각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실제로 한국에서도 40대 이상 남성이 성형외과 문턱을 넘는 경우가 부쩍 늘었다.

  코끝에 도드라져 보이는 흉터나 반점을 없애거나 팔자주름, 사각턱에 각각 필러와 보톡스를 맞는 사례가 많다.

 김성환 한림대강남성심병원 성형외과 교수는 "(화상회의에서)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게 되면 턱끝과 코끝, 사각턱이 강조돼 보이는 경향이 있다"며 "코끝과 입술선의 각도에 따라서 콧방울이 커 보이기도 해서 이에 대한 환자들 문의가 종종 들어온다"고 밝혔다.

 바깥 활동을 줄일 수밖에 없는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상황이 성형외과를 더욱 바쁘게 만들었다는 설명도 나온다.

 여행이나 쇼핑, 외식에 예전처럼 비용을 지출하지 않게 되면서 그만큼 외모에 더 투자하게 된다는 것이다.

 평소에는 그냥 지나치던 내 얼굴을 새삼 자세히 들여다보게 된 사람들. 코로나19 사태가 불러온 색다른 풍경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수술 빨라지길"…전공의 병원 복귀 첫날, 환자들 기대·안도
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해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1일 수련 재개로 상당수 현장으로 복귀하면서 환자들은 환영의 뜻과 함께 기대감을 나타냈다. 1일 오전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은 '의료대란' 당시와 다를 바 없이 북적였지만, 전공의처럼 보이는 의사 가운을 입은 청년들이 곳곳에서 눈에 띄어 차이가 있었다. 서울대병원에서는 '환자의 개인정보 예방을 위해 병원 내 촬영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안내문이 병원 곳곳에 비치된 채 의정 갈등 사태의 흔적으로 남은 가운데, 흰 가운의 젊은 의사들이 바쁜 발걸음을 재촉했다. 성북구 고려대 안암병원도 안정세를 찾은 분위기였다. 의료진은 각자 진료나 수술을 위해 바삐 걸음을 옮기느라 분주한 모습이었다. 다만 이들은 전공의 복귀 관련 질문에 대해서는 손사래를 치는 등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환자들의 분위기는 사뭇 달랐다. 병원에서 만난 환자들은 전공의 복귀를 환영하며 기대감과 안도감을 드러냈다. 서울대병원에서 아들의 신장 이식 수술을 기다리는 중이라는 한 어머니는 "이식을 받기 위해 7월 초부터 입원해서 기다리고 있다"며 "수술받을 사람이 많아서 대기 중인데 전공의가 복귀하면 더 빨라질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