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한 입덧, 우울증 위험 높다"

 입덧이 심하면(임신오조) 임신 중과 출산 후 우울증이 나타날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임피어리얼 칼리지 런던(ICL) 의대 산부인과 전문의 니콜라 미첼-존스 박사 연구팀이 런던의 3개 의료기관을 다닌 임신 여성 214명의 의료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보도했다.

 이들은 모두 지난해 정신건강 문제로 치료를 받은 일이 없었다.

 그 결과 입덧이 심한 여성은 임신 중 우울증이 나타날 위험이 8배, 출산 후 우울증이 발생할 위험은 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입덧이 심한 여성은 임신 중 우울증이 나타날 위험이 49%, 입덧을 겪지 않은 여성은 6%였다.

 산후 우울증 발생률은 입덧이 심한 여성이 29%, 입덧이 없었던 여성은 7%였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가 임신오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임신오조에 관한 임상지침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새로운 임상지침에는 심리검사(psychological testing)와 필요할 경우 정신의학 전문의 진료 등이 포함돼야 할 것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 의학 저널 오픈(British Medical Journal Open)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