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제 치료효과 예측하는 머신러닝 기술 개발

포항공대 연구팀, 환자 유래 미니 장기로 예측 정확도 높여

 국내 연구진이 항암제 치료 효과를 예측하는 머신러닝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포항공과대학 김상욱 교수 연구팀이 암환자 유래 인공 미니 장기에서 얻은 데이터를 학습해 항암제 반응성을 예측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같은 암을 앓더라도 항암제에 대한 반응은 환자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환자별 약물 반응성을 예측하는 머신러닝 연구가 활발하지만, 정확성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

 기존 머신러닝이 방대한 바이오마커를 학습해야 했다면, 연구팀은 양질의 학습데이터만 입력시켜 예측 정확도를 높인 것이다.

 또 동물모델이 아닌 환자 유래 미니 장기에서 얻은 데이터를 이용해 실제 환자의 반응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방법으로 대장암 치료에 쓰이는 5-플루오로우라실, 방광암에 치료제인 시스플라틴 등에 대한 약물 반응이 실제 임상 결과와 비슷한 수준으로 예측됐다.

 항암제에 반응할 환자를 선별하는 개인 맞춤형 정밀 의료를 실현하고, 새로운 항암제 기전 규명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연구팀은 내다봤다.

 연구 성과를 담은 논문은 이날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실 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